레이어1 블록체인인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이 계정 하나만으로 모든 체인에 대한 거래에 서명(Trans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체인 서명(Chain Signature)’을 출시했다.
체인 서명은 단일 니어 프로토콜 계정에서 별개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지 않고도 거래에 서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사용자의 브릿지(Bridge) 및 예금 예치 없이도 니어 프로토콜의 MPC(Multi Party Computation) 노드 시스템을 통해 계정과 직접 상호작용한다. 또한 아이겐레이어(Eigen Layer)의 첨단 보안 기술을 활용해 보안 수준을 한층 더 강화한다.

체인 서명은 니어 프로토콜의 체인 추상화(Chain Abstraction) 비전의 핵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 없이도 사용자와 개발자가 제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용자는 단 하나의 계정으로 웹3의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개시할 수 있다.
체인 서명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코스모스 체인, 도지코인, 리플 렛저 등 주요 블록체인을 지원하며 향후 솔라나, 톤 네트워크, 폴카닷 등으로 지원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특히 기존에 접근이 어려웠던 비스마트 계약(non-smart contract) 체인에서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해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등 주요한 서비스를 타 체인의 자산을 브리징하는 복잡한 과정 없이도 간편하게 구축·이용할 수 있다.
니어 프로토콜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은 “체인 서명은 모든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더욱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태계 전반에 걸쳐 분산된 유동성을 하나로 통합한다. 이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다음 세대의 앱들이 더욱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웹3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 경량 데이터 공유 시스템
- 새로운 패러다임 ‘AI∙웹 3.0∙메타버스’의 통합
- [기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IAM 트렌드 5가지
- [기고] 데이터 가치 높이는 '데이터 관리' 5대 비법
- '비트코인 채굴' 물 부족·환경 악화 초래 ...'물·전기' 소비만도 국가급 수준
- 지적재산권 계약서, NFT로 보안과 편의성 강화
- 분산 ID 시장, '보안 침해·블록체인 ID' 증가로 연평균 87.9% 고성장
- 블록체인 기반 AI 협업 프레임워크...사일로는 제거하고 협업은 높여
- 블록체인 보안 SW, 연평균 44% 수직 성장
- 2024년 1분기, 웹3 보안 사고 손실액 ‘5억 252만 달러’
- 리플, 미 달러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 복잡한 이력서 준비, ‘디지털배지’로 부담 줄여
- 비트코인 반감기가 미치는 영향
- 판도라 체인, 이더리움을 뛰어넘는 혁신인가?
- KISA, ‘2024 블록체인 밋업 콘퍼런스’ 개최
- 안전하고 빠른 거래 요구 급증 ‘블록체인 금융 시장’ 수직 상승
- 카탈라이즈 리서치, XRP 레저-EVM 사이드체인 밸리데이터 합류
- 날인·서명 업무,‘전자인장시스템’으로 집에서도 간편하게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공공·민간분야 사업 추진
- 수호아이오-썬더플렉스,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기술’ 개발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