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암호화는 디지털 데이터 보안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반 기술이다. 사용자를 인증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프로세서가 장착된 장치를 사용한다. 하드웨어 암호화에서는 보안 매개변수와 보호 키가 암호화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보안 매개변수는 콜드 부팅과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부터 암호화를 보호한다. 하드웨어 암호화의 가장 큰 장점은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로부터 독립되어 운영체제가 손상된 경우에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전 세계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은 2022년 2933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9.5%로 성장하여 2032년에는 1조 8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9.5%로 성장하여 2032년에는 1조 8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AMR)
전 세계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9.5%로 성장하여 2032년에는 1조 8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AMR)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AMR(Allied Market Research)는 이 같은 전망을 담은 ‘전 세계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 분석과 전망, 2023~2032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품별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부문이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고, 알고리듬 표준에 따라서는 RSA 부문은 가장 많았다. 아키텍처별로는 ASIC 부문,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는 가전제품 부문이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용도를 기준으로 보면, 산업용/상업용/주거용/정부용 부문 중에서 상업용 부문이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업용 부문은 민감한 금융 거래, 방대한 데이터 네트워크 및 소비자 정보를 다루고 있으며, 하드웨어 암호화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정부 부문은 향후 몇 년 동안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 부문의 하드웨어 암호화 채택은 국가 안보에 기여하고,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며, 효과적인 거버넌스에 필수적인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장한다.

지역적으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디지털화의 성장과 AI, ML,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첨단 기술에 대한 투자 증가로 인해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가전제품 보급률 급증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은 가전제품,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러한 기기들은 일상 활동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방대한 양의 개인 데이터와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강력한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

소비자와 기업 모두 금융 거래, 개인 통신, 민감한 문서 등 이러한 기기들에 저장된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하드웨어 암호화는 이러한 전자 기기 내에 전용 암호화 프로세서 또는 모듈을 통합하여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 방법을 뛰어넘는 추가 보안 계층을 제공함으로써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가전제품의 채택이 급증하면서 사용자들이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과 무단 액세스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을 우선시함에 따라 하드웨어 암호화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

하드웨어 암호화 시장에서 활동하는 주요 업체로는 브로드컴, IBM, 맥아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넷앱, 삼성전자, 도시바, 킹스턴 테크놀로지, 씨게이트 테크놀로지, 웨스턴 디지털 테크놀로지스 등이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