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하나의 셀에 3비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TLC(Triple Level Cell)의 신제품 ‘1Tb(테라비트) TLC 9세대 V낸드’를 양산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소 크기 셀(Cell) ▲최소 몰드(Mold) 두께를 구현해 ‘1Tb TLC 9세대 V낸드’의 비트 밀도를 이전 세대 대비 약 1.5배 증가시켰다.
셀 어레이(Cell Array)에서 플레인(Plane)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더미 채널 홀(Dummy Channel Hole)’ 제거 기술로 셀의 평면적을 줄였으며, 셀의 크기를 줄이면서 생기는 간섭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셀 간섭 회피 기술, 셀 수명 연장 기술을 적용해 제품 품질과 신뢰성을 높였다.
삼성전자의 ‘9세대 V낸드’는 더블 스택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최고 단수 제품으로, ‘채널 홀 에칭(Channel Hole Etching)’ 기술로 한 번에 업계 최대 단수를 뚫는 공정 혁신으로 생산성도 향상됐다.
‘채널 홀 에칭’이란 몰드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한 번에 전자가 이동하는 홀(채널 홀)을 만드는 기술이다. 특히, 적층 단수가 높아져 한 번에 많이 뚫을수록 생산효율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정교화·고도화가 요구된다.
‘9세대 V낸드’는 차세대 낸드플래시 인터페이스인 ‘Toggle 5.1’이 적용돼 8세대 V낸드 대비 33% 향상된 최대 3.2Gbps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구현했다. 삼성전자는 이를 기반으로 PCIe 5.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고성능 SSD 시장을 확대해 낸드플래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또 ‘9세대 V낸드’는 저전력 설계 기술을 탑재하여 이전 세대 제품 대비 소비 전력이 약 10% 개선됐다.
허성회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Flash개발실장 부사장은 “낸드플래시 제품의 세대가 진화할수록 고용량·고성능 제품에 대한 고객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극한의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성과 제품 경쟁력을 높였다.”라며 “9세대 V낸드를 통해 AI 시대에 대응하는 초고속, 초고용량 SSD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TLC 9세대 V낸드’에 이어 올 하반기 ‘QLC(Quad Level Cell) 9세대 V낸드’도 양산할 예정으로 AI시대에 요구되는 고용량·고성능 낸드플래시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현대오토에버, 삼성전자 출신 ERP 전문가 김선우 ERP 센터장 영입
- 솔트룩스, 삼성E&A 지능형 검색 시스템 개발 사업 수주
- 온디바이스 AI 및 10.7Gbps 속도 지원하는 ‘LPDDR5X’
- AI∙IoT 디지털 기술 활용 증가 ‘증강지능’ 시장 강화
- 스마트폰∙태블릿 급증 ‘하드웨어 암호화’ 더욱 주목
- 삼성전자, 2023년도 출시 모델 대상 ‘갤럭시 AI’ 업데이트
- 쇼핑·교육·문화 아우르는 ‘삼성스토어’
- 삼성전자, 36GB 5세대 HBM 12단 적층 D램 개발
- 글로벌 반도체 경쟁, 어떻게 대응할까?
- 삼성전자, 28㎓ 이음5G 통신망 구축
- 삼성전자, 소비자용 SSD ‘990 EVO’ 기존 대비 전력 효율 70% 향상
-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꿈꾸는 '미래의 스마트홈-커넥티드 카 라이프스타일'
- 삼성전자-레드햇, CXL 메모리 동작 검증
- 삼성전자, 정확하고 선명한 최첨단 이미지센서 출시 "모바일·로봇·XR 콘텐츠에 최적화"
- 삼성-SK하이닉스-파네시아, 고성능·저비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CXL’ 기술 개발 박차
- PostgreSQL 실행에 25배 높은 성능의 데이터 센터용 SSD
- 삼성전자, ‘레드햇 인증’ CXL 인프라 구축 완료
- FDP 기술로 QLC SSD의 잠재력 극대화
- 삼성전자, ‘1Tb QLC 9세대 V낸드’ 발표...비트 밀도 86%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