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센트의 자체 분석 결과, 2023년 7월 가맹점 네트워크가 전면 개방된 이후 웨이신 페이의 해외 결제 카드 서비스의 평균 일일 거래량은 3배 이상, 평균 일일 거래 횟수는 4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온라인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쇼핑, 외식, 관광 분야에서 소비가 가장 활발했으며 일 평균 거래액은 약 100위안(약 1만 9000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텐센트는 중국 본토를 방문하는 외국 관광객들의 결제 경험 향상을 위해 카드 연동 절차를 간소화하고 페이넷 등 해외 전자지갑과의 연동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위챗(WeChat) 계정 등록이 더 편리하고 안전해졌으며, 해외에서 발행된 카드를 웨이신 페이(Weixin Pay)에 연결하는 절차도 쉬워졌다. 또한, 페이넷 등 해외 전자지갑과의 파트너십으로 상호운용성도 제고됐다.

해외 이용자들은 위챗 앱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한 뒤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전화번호(+86을 제외한 국가 및 지역 코드)로 위챗 계정을 만들 수 있으며, 안전한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 등록을 새로 하거나 기존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다. 해외결제 카드도 간단하게 기본 카드 정보만 입력해 웨이신 페이에 연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거리 노점상, 소형 및 중형 상점 등을 포함한 중국 본토의 수많은 가맹점에서 일정 금액까지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등록 가능한 해외 카드에는 중국 본토 외 지역에서 발급된 비자,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다이너스 클럽 등의 디스커버 글로벌 네트워크, JCB 결제 카드가 포함된다.
높은 거래 한도를 원할 경우 여권 등 관련 정보를 제출하면 되며, 신원 확인 절차는 수 초 내에 가능하다. 웨이신 페이는 신원 확인된 해외 사용자를 위해 단일 거래 한도를 기존 1000달러(약 137만 원)에서 최대 5000달러(약 685만 원), 연간 거래 한도를 기존 1만 달러(약 1370만 원)에서 최대 5만 달러(약 6848만 원)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이외에도, 원스톱 충전 및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니온페이 투어 카드 신청과 연동이 웨이신 페이 내에서도 가능해졌다.
방문객들이 중국에서 해외 전자지갑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협력도 강화했다. 최근, 텐센트의 텐페이(Tenpay Payment Technology)와 왕롄(NetsUnion Clearing Corporation), 중국건설은행 말레이시아 지부(China Construction Bank Malaysia)는 말레이시아 페이넷과 QR 코드 결제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에 따라, 페이넷 시스템의 전자지갑 사용자들은 중국 본토에서 웨이신 페이 결제 코드를 스캔해 결제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텐센트의 크로스보더 결제 플랫폼 텐페이 글로벌(Tenpay Global)도 왕롄과 협력하여 더 많은 해외 전자지갑을 중국과 연결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페이넷에 앞서 중국 본토에 진출한 최초의 해외 전자지갑 위챗페이 HK(WeChat Pay HK)는 홍콩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홍콩 달러(HKD) 기반 전자지갑 서비스로 작년 말부터 중국 본토 전역 수천만 가맹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위챗페이 HK는 홍콩 달러로 결제가 가능하고, 결제 시 위안화로 자동 변환해주는 기능도 있다. 최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실명 인증을 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단일 거래 한도를 3만 8000홍콩달러(약 664만 원), 연간 누적 거래 한도를 40만 홍콩달러(약 6991만 원)로 상향 조정했다.
관련기사
-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2029년 1조 7249억 달러 ‘쾌속질주’
- 접근성∙확장성∙비용효율성∙편의성 이점 ‘클라우드 서비스’ 지속 성장
- 데이터 폭증,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장 ‘급부상’
- [GDC 2024] AI/ML 기술로 더 새로워진 클라우드 게임
- 메타버스, ‘NFT 수요∙재택근무’ 증가로 연평균 40% 급성장
- 스마트홈∙스마트시티 확대로 ‘AIoT’는 황금기
- AI 워크로드에 적합한 네트워크 스위치는?
- [SPOTLIGHT] AI로 화상회의 카메라 기술 혁신 이끄는 ‘에버인포메이션’
- 텐센트, 기후 변화 대응 개발 프로그램 ‘카본엑스’ 13개팀 선정
- 지재권(IP) 프레임워크 개선과 브랜드 가치 향상 전략
- 모바일 네트워크 확산·비접촉 결제 증가, 모바일 지갑 시장 ‘열린다’
- 인보이스 발행 프로세스 간소화 ‘운영 효율성 개선’
- 보안 핀과 ECC로 무장한 'JCOP 페이'...맞춤형 카드 발급 및 유연한 결제 지원
- 텐센트, 기업 AI와 디지털화 위한 AI 제품 대거 공거...글로벌 사업도 강화
- 글나무, 외국어 메뉴 제작 플랫폼 '맛말' 출시
- NHN KCP-비자-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글로벌 무역대금 카드 결제 시장 공략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