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가전회사와 자동차 회사가 미래 라이프 스타일 비즈니스에 동반하게 됐다.
삼성전자가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기아)과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의 연동 범위를 커넥티드 카로 확대하는 ‘홈투카(Home-to-Car)·카투홈(Car-to-Home) 서비스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3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현대차·기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플랫폼을 연동해 차세대 스마트홈을 위한 △홈투카·카투홈 서비스 △통합 홈에너지 관리 서비스 개발에 협력한다.
홈투카·카투홈 서비스는 스마트홈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연계해 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마트싱스를 통해 △집에서 차량 시동, 스마트 공조, 창문 개폐, 전기차(EV) 충전 상태 확인 등의 기능을 이용하고 △차에서 집안의 TV, 에어컨 등 가전과 전기차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스마트싱스로 향후 자동차까지 포함한 ‘기상 모드’, ‘귀가 모드’ 등을 설정해 스마트싱스 연결 기기들을 한 번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아침에 갤럭시 스마트폰의 알람이 울리면 자동으로 커튼이 열리며 조명과 TV가 켜지고, 차량은 내부를 적정 온도로 맞춰 준다. 특히, 출근 준비 중에 스마트폰과 TV 화면에는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과 주행 가능 거리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통합 홈에너지 관리 서비스는 가정과 차량의 에너지 사용량을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서비스는 △집안의 연결 기기뿐 아니라 전기차 충전기, 차량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고 △요금제 및 탄소 배출량 등을 고려해 최적 충전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삼성전자 박찬우 부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미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홈투카 및 통합 홈에너지 관리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자동차를 연결해 고객 경험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인포테인먼트개발센터장 권해영 상무는 “커넥티드카의 카투홈·홈투카 서비스를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전 세계 현대차·기아 고객의 이동 여정이 유의미한 시간이 되도록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 외에도 삼성전자는 자회사 하만과 협력해 카투홈 서비스 등 차량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하만의 ‘레디 업그레이드(Ready Upgrade)’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지털콕핏 패키지 제품으로, 스마트싱스 기능 탑재가 가능해 다양한 카투홈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 전기차 구매를 좌우하는 “비용과 충전소 접근성”
- [Success Story] 자동차 기업의 사이버 보안 위험 대처법
-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 기술 급성장, ‘스마트카’는 청신호
- AI와 ML이 성장 주도하는 "음성 및 목소리 인식 시장"
- 자동차 산업을 혁신할 10대 유망 기술
- 커넥티드 카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 '드림팀' 결성한다
- 아하, 30kW급 전기차 충전 파워모듈 특허 등록
- 양방향 충전 방식의 전기차 고속 충전 플랫폼
- [CES 2024] 55인치 TV 140장의 미디어터널과 초고해상도 투명 무선 올레드TV, 탄성 저절로
- 현대자동차, 로블록스에 미래 모빌리티 게임 론칭
- AI로 모바일 소통 혁신한 '갤럭시 S24'..."외국어 통역·생산성·이미지·보안 놀라운 향상"
- 견고한 성장세 '배터리' 2032년 2763억 달러 돌파
- 빠른 충전과 경제적인 레벨 2 전기차 충전 케이블
- 삼성전자, 소비자용 SSD ‘990 EVO’ 기존 대비 전력 효율 70% 향상
- 디지털 시대, 건강을 유지하는 화면 시간 관리법
- 2024년에 변화될 전기자동차 EV 충전 동향
- 소비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자동차 기술
- 현대자동차, 개방형 자동화 확산 본격화
- KEVIT-5개사, EV 충전 인프라 협약 체결
-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정부 지원으로 거침없는 성장
- '차량 관리 생성AI' 데이터 기반 예측과 분석으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차량 유지
- 쇼핑·교육·문화 아우르는 ‘삼성스토어’
- 삼성전자, 2023년도 출시 모델 대상 ‘갤럭시 AI’ 업데이트
- 복잡한 공간도 안정적으로 배달하는 ‘딜리버리 로봇’
- 온디바이스 AI 및 10.7Gbps 속도 지원하는 ‘LPDDR5X’
- 최소 '셀·몰드' 구현 삼성전자 ‘1Tb TLC 9세대 V낸드’
- 삼성전자가 ‘갤럭시 AI’에 16개 언어를 탑재한 방법
- 현대차, AI 기반 편리한 공공 교통 이용 앱 ‘이응’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