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으로 지난 2년 넘게 이어진 비대면 혹은 하이브드리드 환경에 익숙해진 직원들은 팬데믹 이후 어떤 업무 환경을 꿈꿀까? 반면, 리더들은 직원의 만족도와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 어떠한 근무 형태를 유지할지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무 유연성과 지속적인 생산성은 아태지역 직원들이 주요 관심 업무 요소이다. IDC 조사에 따르면 아태지역(일본 제외) 직원의 56%가 “팬데믹이 끝난 이후에도 재택 및 출근에 대한 옵션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업무 환경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70%가 넘는 직원이 “팬데믹 이전보다 그들의 업무 생산성이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해 비대면,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발간된 IDC의 ‘사무실 복귀 및 하이브리드 업무: 고용주가 알아야 할 사항(Return to Office and Hybrid Work: What Employers Need to Know)’ 보고서에서 조사된 내용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직원들이 선호하는 업무 환경, 하이브리드 업무 지원을 위한 주요 기술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직원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고의 생산성 및 비즈니스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IDC의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재택 근무 중에도 많은 직원이 지속적인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태 지역 직원들은 “액세스, 업무 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직원들이 생각하는 생산성을 지원할 수 있는 상위 5개 기술은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동, ▲협업 툴, ▲ 커넥티비티/광대역 솔루션, ▲5G 연결, ▲온디맨드 IT 지원이다.

IDC 아시아/태평양에서 미래의 업무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서치를 담당하는 릴리 판(Lily Phan) 리서치 디렉터는 “직원의 생산성을 보장하는 하이브리드 및 재택 근무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액세스, 연결, 도구 및 애플리케이션이 전제되어야 한다”며 “조직은 하이브리드 업무 기술에 전략적으로 투자하여 직원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태 지역 직원들이 사무실로 복귀할 때 가장 우려하는 사항 중 하나는 ‘건강·안전’으로 나타났다. 조직은 직원에게 단순히 백신 접종을 권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원의 안전과 웰빙을 보장하는 업무 환경 구축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온도 감지, 보다 업그레이드된 실내 환기 기능, 비접촉식 센서, 터치리스 고정 장치, 로봇 청소, 스마트 미팅룸 관리와 같은 스마트 오피스 기술로 더 안전한 사무실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키워드
관련기사
- 아태지역 2025년 인공지능 분야에 320억 달러 쓴다
- “고객 경험의 미래는 디지털 퍼스트가 핵심”
- “비즈니스 혁신 기본 전략은 HCI 도입”
- 지능형 협업시대, 복잡한 업무환경 효율·안전성·안정성 높이는최적 방안은?
-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 글로벌 바이오시장 입지 다질까?
- 엔데믹 맞은 IT 업계 “우리는 백 투 노멀 안한다”
- 시장 혼란 속 “빅데이터·분석에 19% 더 지출 전망”
-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장, 전년 대비 26.1% 성장할 것”
- “2년 후 CIO ‘DX 오케이스트레이션’에 집중한다”
- 각국에서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적극 나서는 이유
- "아태지역 IT 지출, "컨수머 감소세·엔터프라이즈 안정세이나 경기 영향 받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