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3일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 ‘제3차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관계부처 회의(이하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2023년 9월 국무회의를 통해 보고된 ‘디지털 권리장전’을 정책으로 구현하고 속도감 있게 디지털 질서를 마련해 나가기 위해 27개 부처가 함께 준비 중인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간 정부는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과 ‘대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제1‧2회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AI 안전성 보장, AI 저작권 제도 정비 등 디지털 심화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변화를 온전히 수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쟁점 총 52개를 발굴했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총 52개 디지털 심화쟁점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권리장전의 철학과 원칙을 토대로 구체적 정책과제를 제안했고, 관계부처와 협업‧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의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을 상반기 중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EU AI법 등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우리가 먼저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라며 “디지털 권리장전이 발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후속 조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전 부처가 합심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KISA-과기정통부-부산시-부산테크노파크,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
- 과기정통부, 全 산업 디지털 서비스화 ‘XaaS 선도 프로젝트’ 추진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 쟁점 해결 본격 돌입
- 과기정통부, AI 융합혁신 및 대중화 적극 추진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 혁신에 5770억원 투자
- AI 시대, 정부가 '디지털 권리장전'에 주목하는 이유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메타버스 실천윤리, 생태계 혁신과 자율규제 문화 조성 기대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과기정통부, 농어촌 5G 통신 공동이용 상용화 완료
- 과기정통부, 소속‧산하기관 대상 사이버 모의침투 훈련 실시
- 친환경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실현의 열쇠는 AI”
- KISA-과기정통부, ‘2024 모의 ICT 분쟁조정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 KISA, 영세·중소기업 대상 암호모듈검증 컨설팅 무료 지원
- 국정원, ‘2024 국가정보 보호백서’ 발간
- 교육 현장에도 적용할 '디지털 권리장전'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과기정통부, ‘AI 연구거점 사업 수행기관’ 공모...2028년까지 360억원 투입
- 교육부,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학교 디지털 인프라 종합 점검 및 개선
- 과기정통부, AI‧디지털 핵심인재 양성 나선다
- 저작권 걱정 없는 'AI 학습 원천데이터'
- 과기정통부, ‘제1회 디지털 심화쟁점 콜로키움’ 개최
- 생활 속 전자파, 잘못된 정보 고쳐잡자
- 산업부, K-디자인과 AI 융합 'AI 디자인 확산 전략' 공개
- 국민이 참여하는 ‘디지털 질서 정립’
- 지재위, 'AI 및 IP 쟁점 대응 보고서' 발간
- 딜리전트, EU AI 규정 준수 지원 ‘AI 법 툴킷’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