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분석가들은 연합 API 관리 솔루션의 필요성 증가를 강조하고 있다. IDC의 AI 및 자동화 부문 수석 연구 책임자인 샤리 라바(Shari Lava)는 “조직들은 여러 환경과 플랫폼에 걸쳐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API 환경을 처리하기 위해 점점 더 연합 API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중앙 집중식 연합 접근 방식을 통해 모든 API에서 일관된 거버넌스, 보안 및 모니터링을 지원하여 위험을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섀도우 API(Shadow API)의 문제점도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섀도우 API는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지 않았거나 관리되지 않는 API를 의미하며, 이는 조직 내의 개발자들이 비공식적으로 개발하거나 사용하는 API를 포함한다. 섀도우 API는 종종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빠르게 통합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API는 IT 부서나 보안 팀의 승인 없이 개발되기 때문에 보안 및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클라우드 환경이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관리되지 않는 API는 보안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데이터 유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공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조직 전체의 API 사용 현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IT 자산 관리 및 모니터링이 어렵다. 이는 최종적으로 컴플라이언스 위반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조직의 전반적인 보안 상태를 약화시킨다. 섀도우 API를 줄이려면 철저한 API 관리 정책과 정기적인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
지능형 통합 및 자동화 기업 부미(Boomi)가 9일 조직의 모든 API를 검색, 관리 및 통제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플랫폼을 기업에 제공하는 '부미 API 제어판(Boomi API Control Plane)'의 출시를 발표했다.

부미 API 제어판은 APIIDA에서 최근에 인수된 연합 API 관리 비즈니스를 활용해 부미의 기존 API 관리 솔루션을 강화했다. 사용자가 IT 영역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 ‘섀도우 API(shadow API)’를 포함하여 모든 API를 한 곳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섀도우 API를 제어해 조직들은 기업 전체에서 API 활용을 높여 효율성과 혁신 기회를 주도할 수 있다.
부미 API 제어판은 중앙 집중식 API 검색 기능으로 단일 위치에서 조직 내의 모든 API를 검색하고, 섀도우 API를 제어하고, API 활용성을 높인다.
게이트웨이 간 API 관리도 간소화한다. 일관된 개발자 경험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API 성능 및 사용량에 대한 통찰을 얻고, 기존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투자의 가치를 확장한다.
API 거버넌스도 강화됐다. 모든 플랫폼에서 일관된 정책을 보장하고, 데이터 침해 위험을 줄이고, 보안 감사를 간소화하여 규정 준수를 더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만든다.
에드 매코스키(Ed Macosky) 부미 최고 제품 및 기술 책임자는 “부미는 공급업체에 독립적인 연합 API 관리 접근 방식으로 조직들이 기존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API 런타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API 스프롤(API sprawl)을 해결할 수 있다.”라며 “부미 API 제어판을 통해 우리는 운영을 간소화하고 거버넌스를 강화하며 혁신을 가속하는 통합된 전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오케스트레이션∙API∙블록체인' 관리 웹3 기술 스택
- 스마트홈∙스마트시티 확대로 ‘AIoT’는 황금기
- 생산성과 협업 높이는 애자일 방법론 "기업 투자 확대로 성장 가속"
- 기업 레거시 시스템 문제 해결하는 ‘컴포저블 인프라’
- 부미, SAP 데이터스피어 마이그레이션 효율화 솔루션 출시
- 아키텍처 수준에서 가시성 확보 못해 ‘클라우드 비용 폭증’
- 윈스, ‘클라우드 보안 시스템’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 시스템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엑셈원’, GS인증 ‘1등급’ 획득
- 보안·규정 준수 복잡성 증가 ‘AI 모델 위험 관리’ 필요성 부상
- API 검색과 사전 보안 테스트 통합
- 재고 관리가 과학이 되는 순간
- LLM 정확도·처리 속도 높이는 ‘엔비디아 네모 리트리버 NIM’ 마이크로서비스
- 서비스나우-부미, ‘AI 셀프서비스’로 고객 경험 개선
- 기업 평균 데이터 유출 비용 사상 최고치...글로벌 약 62억9520만 원, 한국은 48억3300만원
- '3D 생성기 API' 텍스트와 이미지를 합법적 윤리적 3D 이미지로 변환
- '데이터 품질' 효과적인 기업 AI 활용 핵심
- 눈먼 지출 잡아내는 ‘지출 통합 관리’ 솔루션
- 효율적인 보고 프로세스 간소화 솔루션
- 복잡한 기업 자산관리, AI 챗봇 적용 '셀리즈 AI에이전트'로 간편성·경영 효율성↑
- 닥터소프트, 지식 재산의 날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 서비스 개발 유연성 확장성 높이는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플랫폼’ 성장 가속
- 공공 기관의 섀도우 AI 대응 전략
- ‘AI 기반 3D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대규모 3D 모델·스캔 처리
- 기업의 경쟁력·지속가능성 유지 핵심 ‘보안 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