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개발자들은 오랫동안 웹2의 잘 구축된 스택과 유사한 안정적인 올인원 기술 스택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인 퀵노드(QuickNode)는 웹 3 API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인 유니블록(Uniblock)과 제휴해 오케스트레이션, API, 블록체인 레이어를 관리하는 완전한 웹3 기술 스택을 만들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는 웹3 개발을 위한 중추 신경계 역할을 하며 전체 기술 스택에 걸쳐 데이터 및 요청의 흐름을 지능적으로 관리한다. 여러 API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재시도 및 대체 메커니즘을 자동화하며, 비용 효율성과 성능에 대한 호출을 최적화해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유니블록의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는 웹2에서 오랫동안 존재했던 미들웨어 인프라를 웹3에 도입한다. 지금까지 웹3 개발자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서비스 간의 상호작용을 수동으로 관리해야 했다. 이는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다. 유니블록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자동화해 효율적인 데이터 흐름과 강력한 오류 처리를 보장한다. 이로써 개발자들은 복잡한 블록체인 API 관리를 처리하기보다는 구축에 집중할 수 있다.
퀵노드는 안전하고 분산된 환경에 필수적인 블록체인 API 엔드포인트 및 인프라 서비스의 전체 제품군을 제공한다. 이들 제품에는 안정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균형 잡힌 인프라가 지원하는 다양한 도구와 리소스가 포함돼 있다.
유니블록과 퀵노드는 웹3의 발전에 따라 개발자에게 미래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원활하고 통합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 기술 스택을 통해 개발자는 작업을 가속화하고 분산 세계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기고] 디지털 시대, 신뢰의 핵심 ‘데이터 검증’
- 손실 커지는 웹3 보안 위협
- 웹3, 메타버스 경험, AR, VR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 지난 해 가장 피해 규모 큰 보안 사고 '개인 키 유출'
- ‘내 데이터와 대화’하는 AI 채팅, 데이터 통찰력↑
- [기고] 2024년 더 스마트해지는 시맨틱 기술
- 차세대 네트워크 견인차, "AI·클라우드·XR·디지털 트윈"
- 신뢰성·안전성 높은 웹3 애플리케이션 개발 돕는 '검증 플랫폼'
- AI로 뒷심 받는 메타버스, 2030년 10억 사용자 전망
- 비즈니스의 미래는 '웹3'로 향하고 있다
- ‘엑셀라 네트워크-XRP 레저’ 통합,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산 전송 지원
-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 경량 데이터 공유 시스템
- KISA-인천광역시-인천테크노파크, ‘지역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구축사업’ 협력
- 2024년 1분기, 웹3 보안 사고 손실액 ‘5억 252만 달러’
- 데이터 관리∙웹 3.0 증가에 따라 ‘시맨틱 웹 솔루션’ 채택 급증
- 판도라 체인, 이더리움을 뛰어넘는 혁신인가?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공공·민간분야 사업 추진
- 섀도우 API 잡는 'API 제어판'...중앙 집중식 검색·관리 및 거버넌스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