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지에 위치한 연구실, 장거리 트럭 운송 작업 및 재난 지역과 같이 열악하고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이동이 잦은 환경에 놓인 기업은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특히 고유한 과제나 요구사항이 존재하는 까다로운 에지 환경에서 비즈니스에 핵심적인 워크로드를 운영하는 조직은 중요한 클라우드 및 AI 기능을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다.

구글 클라우드가 에지 환경에서 구글의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제공하는 에어갭이 적용된 ‘구글 분산형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GDC air-gapped appliance, 이하 ‘GDCAA’)’ 제품군을 18일 정식 출시했다.

GDCAA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솔루션으로 객체 탐지, 의료 영상 분석, 중요 인프라의 예측 유지 보수와 같은 AI 활용 실시간 로컬 데이터 처리를 지원한다. 이 장비는 견고한 케이스에 넣어 편리하게 운반하거나 고객별 로컬 운영 환경 내 랙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완전한 격리 ▲발전된 AI 기능 ▲통합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보안 ▲내구성과 이동성 등을 지원한다.

이 솔루션은 구글 클라우드나 퍼블릭 인터넷망이나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에어갭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기기가 관리하는 인프라, 서비스 및 API의 보안과 격리를 보장한다. 이를 통해 엄격한 규제, 컴플라이언스 및 데이터 주권 요건을 충족하며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민감한 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화, 데이터 격리, 방화벽 및 안전 모드 부팅과 같은 강력한 보안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빌트인으로 제공되는 AI 솔루션인 번역, 음성 인식 및 광학 문자 인식(OCR) 등을 활용해 핵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OCR 및 번역 기능을 사용하면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스캔하고 번역해, 최종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와 같은 서비스형 인프라(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기능과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분석 기술과 같은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도 모두 제공한다.

또한 극한의 온도, 충격, 진동과 같은 가혹한 환경 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100파운드가량(약 45kg)의 무게로 휴대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로 쉽게 운반하고 배포할 수 있다.

GDCAA는 에지 환경에서 원격 장비 모니터링, 예측 유지 보수, 프로세스 최적화를 지원한다. 제조업에서는 해당 기기를 활용해 원격으로 공장의 장비 성능을 추적하고 최적화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하고 가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처리, 의사결정을 지원해 자율주행 차량의 배포와 운영을 효율화한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이 복잡한 환경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인터넷 연결이 없는 경우에도 재난 지역에 신속하게 배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필수 소프트웨어와 도구가 사전 탑재돼 있어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