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정보기술’은 미시적인 양자 현상을 활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고, 계측의 정밀도, 암호의 보안성, 컴퓨터의 연산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 각국은 양자정보기술을 국가 전략 분야로 선정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양자정보기술 표준화에도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져, 산업화 초기 단계에서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해 국제표준화 논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한국지능정보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가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주최로 한국 주도의 양자 정보기술 분야 글로벌 사실표준화 기구 퀸사(Quantum INdustrial Standard Association)의 출범식을 13일 개최했다.

‘퀸사’는 양자정보기술 산업의 사실표준화에 대한 민간 주도의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로, 양자 통신, 양자 컴퓨팅, 양자 센싱 등 분야별 국제표준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전문가 협력, 국내외 양자정보기술 표준화 동향 조사 및 분석, 사례 발굴 및 산업화 촉진, 국제 표준화 기구와 협력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한국 주도 사실표준화기구 신설·운영포럼’ 사업을 지원하고, NIA에서는 양자 테스트베드를 글로벌 표준으로 구축해 양자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한편, NIA는 22년 1월 과기정통부로부터 양자산업생태계 전담 기관으로 지정받아, 양자 연구개발 결과물의 기술사업화 및 기업 육성,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산업 인력 양성 등 양자기술 산업화를 이끌고 있다.
관련기사
- 인도네시아 진출한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 NIA-업스테이지, '오픈소스 한국어 LLM 리더보드' 평가 지표 개편
- 무하유,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주관기업 선정
- NIA, 급변하는 AI 시대 대응법 ‘국가 데이터 인프라 전략’ 보고서 발간
- 특허의 모든 것 알려주는 AI 기반 ‘특허심사 GPT’
- NIA,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 진행
- 트위그팜 컨소시엄, LLM 생태계 조성사업 4개 분야 수주
- ‘데이터 아키텍처’와 ‘비즈니스 운영’ 통합 전략
- 메가존클라우드-ETRI, 양자컴퓨팅 분야 협력
- "생성AI로 더 교묘해지는 DDoS 공격" 전년 대비 20% 증가
- 산업별 양자 컴퓨팅 솔루션 개발 가속화
- 미소정보기술 '데이터 품질 진단 서비스' K-PaaS 인증 획득
- IBM ‘양자내성 알고리듬’ 미국 표준으로 채택
- TTA, '블록체인 서비스 신뢰성 검증 시험·컨설팅' 대상 기업 모집
- NIA, 첨단 기술 경쟁력 높이는 '개발 지원 도구' 공모
- ICTK, 중기부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
- 과기정통부, 디지털 전환 가속화 주파수 활용 계획 발표
- SaaS 소기업들, “클라우드 비용이 공공시장 진입 저해 요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사
- ‘양자 컴퓨팅·AI’, 데이터와 물리적 보안 강화 기반으로 부상
- 국표원,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항목 11종 발표
- 전세계가 주목하는 국산 '양자컴퓨팅 에뮬레이터'
- 양자 컴퓨팅 신뢰도 높이는 ‘ML 기반 양자 오류 완화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