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및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소프트웨어 사용 방식이 ‘서비스 자체 구축’에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용’으로 변화함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개발 지원 환경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이 누구나 디지털플랫폼정부(이하 DPG) 혁신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첨단디지털기술 개발지원도구 확대’ 공모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공모는 디지털플랫폼정부(DPG) 인프라 과제 ‘통합테스트베드 운영’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통합테스트베드’는 중소·벤처·스타트업, 시민 개발자, 국가 및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이 DPG 첨단 기술 및 혁신 서비스를 자유롭게 개발·시험·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탑재해 첨단디지털기술 개발지원도구를 제공한다.
이번 공모를 통해 NIA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기정통부와 협력해 통합테스트베드의 첨단 디지털기술 개발지원도구를 확대하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공모는 멀티클라우드 관련 서비스 제공자 대상, 노코드/로우코드 기반의 AI·데이터·SW 개발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 대상 두 트랙으로 진행된다. 통합테스트베드 사용자가 민간 클라우드와 개발 지원 도구를 활용해 혁신 서비스를 개발할 경우, 이용료는 전액 지원할 예정이다.
황종성 NIA 원장은 “이 공모를 통해 DPG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하고, 통합테스트베드를 활용해 첨단 솔루션 및 혁신 서비스를 개발·테스트·검증할 수 있게 해 민간 주도의 혁신 서비스 개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사이냅 문서뷰어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 획득
- 베스트텍, 'AI 기반 느린 학습자 조기 발견 지원 서비스' 사업자 선정
- NIA, 한국 주도 양자정보기술 국제 표준화 기구 '퀸사' 출범
- 인도네시아 진출한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 NIA-업스테이지, '오픈소스 한국어 LLM 리더보드' 평가 지표 개편
- 무하유,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주관기업 선정
- NIA, 급변하는 AI 시대 대응법 ‘국가 데이터 인프라 전략’ 보고서 발간
- 특허의 모든 것 알려주는 AI 기반 ‘특허심사 GPT’
- NIA,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 진행
- 트위그팜 컨소시엄, LLM 생태계 조성사업 4개 분야 수주
- "생성AI로 더 교묘해지는 DDoS 공격" 전년 대비 20% 증가
- 미소정보기술 '데이터 품질 진단 서비스' K-PaaS 인증 획득
- 카테노이드, AI 영상 제작관리시스템 ‘원주시 AI 스튜디오’ 구축 완료
- 과기정통부, 제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개최
- 클라우드 지리 정보 서비스 ‘아크GIS 온라인’, 미국 연방 보안 인증 획득
- 과기정통부, 디지털 전환 가속화 주파수 활용 계획 발표
- SaaS 소기업들, “클라우드 비용이 공공시장 진입 저해 요소”
- KOSTA,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기술대상 및 IT아키텍처 대상' 공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사
-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 사업 착수...범정부 데이터 관리 일원화
- ‘AI·노코드 통합’ 맞춤형 앱 개발 자동화 플랫폼...운영 간소화·비용 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