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리튬배터리 화재사고를 계기로, 리튬배터리 활용 시설을 갖춘 민간 데이터센터 총 89개 시설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의 기준은 ▲10초 이내 주기로 발화를 점검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화재가스 탐지기 등 화재탐지 설비 ▲24시간 배터리실 점검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방화벽·방화문 등 화재확산 방지설비 ▲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수해에 대비할 수 있는 물막이판과 배수시설 등의 구축이다.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서 예비전력설비인 무정전전원장치(UPS)와 배터리를 이중화하고, 데이터센터로 전력인입이 불가능한 상황에는 비상발전기도 구비해야 한다. 아울러 데이터센터로 공급되는 전력원(변전소)을 이원화 하도록 하여, 전력공급 공백을 최소화 하였다.
과기정통부는 안전점검 결과 보완이 필요한 사항은 건축·전기·소방 등 분야별 기술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말까지 개선 조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재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0월에는 '2024 안전한국훈련'과 연계한 ‘정보통신 복합재난 합동훈련’을 진행한다. 이 훈련에는 관계부처와 통신재난관리 의무사업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부가통신서비스 장애 상황의 대응역량을 중점 점검할 예정이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KG 모빌리티, 전기차 스마트 충전기 화재 예방 SW 개발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과 예방법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화하는 미래형 ‘전기차’
- 캠핑용 배터리, ‘KC마크’ 반드시 확인하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사
- 이튼, 전기차 '충전 유연성·시스템 효율성' 강화한 배터리 구성 스위치 출시
- 정부, 세계 3대 AI 국가 이정표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 출범...2028년까지 946억 원 투입
-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사고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삼성전자가 획득한 과기정통부 ‘IoT 보안 인증’
- 과기정통부, ‘2024년 국가 대표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