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PC 및 게임 콘솔과 AI 워크스테이션 분야에 적합한 12나노급 ‘24GB GDDR7(Graphics Double Data Rate 7) D램’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제품은 5세대 10나노급 공정을 적용해 동일한 크기에서 셀 집적도를 높여 이전 모델 ‘16GB GDDR7 D램’ 대비 용량이 50% 증가됐다. 또한, ‘-1’, ‘0’, ‘1’로 세 가지 신호 레벨을 사용해 한번 주기마다 1.5비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PAM3’ 방식으로 이전 제품 대비 25% 향상된 40Gbps를 구현했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최대 42.5Gbps까지의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모든 회로에 동작이 필요할 때만 작동해 전력 소모를 줄이는 ‘클럭 컨트롤 제어 기술’로 제품 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저속 동작 시 외부 전압을 낮추거나 시스템 내부에서 스스로 전압을 낮춰 전류의 경로를 만들어주는 드레인(Drain) 전압을 줄여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전력 이원화 설계’로 전력 효율을 30% 이상 크게 개선했다.
이 외에도 ‘파워 게이팅’ 설계 기법을 적용해 고속 동작시 누설 전류를 줄이고, 전류가 많은 영역에만 제어 스위치를 추가해 제품의 동작 안정성도 향상됐다.
삼성전자는 올해 안에 이 제품을 주요 GPU 기업의 AI 컴퓨팅 시스템에서 검증하고, 내년 초 제품을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배용철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 부사장은 “AI 시장의 빠른 성장에 맞춰 고용량·고성능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을 주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모라이, ‘삼성증권’ 주관으로 2025년 IPO 추진
- 레드햇, ‘AI 대중화·가상 머신 현대화’ 전략으로 국내 기업 IT 효율 극대화
- 삼성전자-AMI, PC에 펌웨어 보안 기능 구현
- 엘솔루-고려대 산학협력단, 고성능 한국어 화자 인증 및 식별 시스템 공동 개발
- 삼성전자, AI PC용 '8채널·32GT/s' 지원 PCIe 5.0 SSD 양산 시작
- “수모로직, 한국에 데이터센터 개설로 AI 기반 클라우드 로그 분석 플랫폼 시장 공략 박차”
- 삼성전자, ‘4TB’ 지원 PCIe 4.0 SSD 출시
- 대규모 시험 부정행위 막는 ‘AI 시험감독 솔루션’
- 국내 태블릿 출하량 22% 감소...'AI·대화면·분리형 모델'로 극복
- 원격 근무·BYOD 확산 속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멈춤 없는 성장
- 데이터 클라우드 콘퍼런스 ‘스노우플레이크 월드 투어 서울’ 성료
- ZTE, AI 기반 5G 고정 무선·모바일 브로드밴드 솔루션 출시
- 키오시아, '512GB QLC UFS 4.0 플래시 메모리' 양산 개시
- [신년사] 삼성전자, "AI 선도 기업으로 재도약"
- 삼성전자,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매출 75.8조 원, 영업이익 6.5조 원
- HCL테크,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프로그램 ‘SAFE’ 설계 솔루션 파트너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