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의 망분리 규제의 단계적 완화로 금융권의 클라우드 기반 SaaS(Software-as-a-Service)와 생성AI 도입이 가속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동안 187건의 혁신금융서비스 신청이 접수되었으며, 그중 70.6%(132건)가 ‘전자금융·보안’ 분야에 집중됐다.  

또한 지난 8월 발표된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에 따라 더 다양한 SaaS 솔루션이 금융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SAP 코리아를 비롯한 IT 기업들은 금융사 고객 확보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협업 도구 중심의 SaaS 도입

현재 금융사들의 SaaS도입은 협업 도구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인사관리 분야에서는 SAP석세스팩터스(SAP SuccessFactors)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인사관리 혁신을 위해 SAP 석세스팩터스를 도입했다. SAP석세스팩터스는 인사정보 관리, 조직 및 인력 분석 등 종합적인 인사관리를 제공하는 SAP의 HR 솔루션이다. 인사 담당자들은 비즈니스 의사결정과 연계된 핵심 과제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SC제일은행은 해당 솔루션 도입을 통해 인사 및 성과 관리 부문에서 효율성을 강화하고, 전략적 인재 경영을 실현할 계획이다. 더불어 협업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성 제고도 기대된다. 한편, KB국민은행도 이러한 목표로 SAP 석세스팩터스를 도입한 바 있다.

CSP 안전성 평가, 금융 SaaS 시장 진출의 필수 요건

IT 기업의 금융 시장 진출의 요건 중 하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의 안전성 평가다. 금융사들은 전자금융감독규정 등 다양한 규제 사항 준수로 CSP 안전성 평가는 금융 SaaS 시장 공략의 필수 관문이 되고 있다.

최근 SAP 코리아는 SAP S/4HANA 클라우드 프라이빗 에디션(SAP S/4HANA Cloud Private Edition)에 대해 금융보안원의 대표평가를 완료하며 금융권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SAP 코리아는 금융보안원의 최종 확인평가를 앞두고 있으며, 오는 11월 내로 모든 절차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금융사들은 SAP 솔루션 도입 시 보안 신뢰성을 확보하고, 보다 신속하게 클라우드 전환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 품질 및 보안 높은 생성AI 활용

한편, 금융사가 생성AI 활용이 가능하도록 규제가 완화되면서, 차별화된 AI 기능을 내재한 솔루션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SAP는 포트폴리오 전반에 비즈니스 AI를 도입해 기업 고객이 생성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SAP 파운데이션 모델은 2만여 고객 동의 하에 데이터를 학습해, 기업용 환경에 최적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SAP의 생성AI 허브에는 25개 자체 거대언어모델(LLM)이 내재화돼 있어, 고객 특성에 맞춰서 비즈니스화 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가 고객사에서만 머무르고 공개된 언어모델로 보내지지 않아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장점도 갖추고 있으며, 직무 기반 권한 및 인증 메커니즘을 통해 민감한 데이터 접근을 제한해 데이터 보안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