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팅, 원격 근무, BYOD(Bring Your Own Device) 정책이 확산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이버 위협 환경에 대응하는 것은 기업들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내부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SMB)은 관리형 서비스 제공업체(MSP)에 의존하고 있다.
다수의 고객사 보안을 관리해야 하는 MSP들은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규 고객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안 데이터 급증, 끊이지 않는 경보, 솔루션 간 호환성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며, 동시에 사업 확장을 모색해야 한다.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인 가드즈(Guardz)는 여러 SMB 고객에게 IT 및 사이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기반 MSP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MSP의 65%가 SMB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4~9개의 서로 다른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12%는 10개 이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가드즈가 폴피시(Pollfish)와 협력하여 260명의 미국 기반 MSP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가드즈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MSP들은 데이터 유출, 피싱 공격, 랜섬웨어가 SMB 고객의 가장 큰 보안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60%의 MSP가 진화하는 위협 환경에 대한 대응이 가장 큰 과제이며, 42%는 첨단 위협 탐지 기술 구현이 어렵다고 밝혔다.
MSP의 54%는 다양한 보안 솔루션 간 맞춤화, 47%는 방대한 보안 데이터 처리가 기술적 문제라고 응답했다.
MSP는 또한 많은 플랫폼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있어 재정적, 물류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58%는 높은 비용 부담, 56%는 시스템 통합 문제, 41%는 각 플랫폼에 대한 교육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한편, MSP의 52%는 새로운 기술 구현에 따른 높은 비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51%는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통합 문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과제로 인해 MSP 직원들이 부담을 안게 되었고, MSP의 44%가 직원들이 변화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고 답했다.
MSP의 53%는 SMB 고객이 위협 환경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50%는 고객이 단일 보안 솔루션에 과도하게 의존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36%는 고객이 사이버 보험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49%는 고객이 규정 준수와 보안을 동일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드즈의 CEO 겸 공동 창립자 도르 아이즈너(Dor Eisner)는 “MSP 커뮤니티에서는 여러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지만, 단일 솔루션으로는 모든 것을 다룰 수 없다. 대부분의 기존 솔루션들이 SMB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관리하기에 복잡하고 무겁기 때문에 기업들을 취약한 상태로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네트워크 모니터링 플랫폼' 다운타임 최소화·생산성 극대화
- IoT·클라우드 위협 노출 증가 ‘DDoS 보호·완화 보안’ 시급
- 성공적인 SASE 구현 전략
- ‘AI 준비도 평가’ 기업 AI 도입 성공 첫단계
- [기고] 기업과 MSP의 새로운 관계 정립법
- 가장 강력한 "사이버 방어법"...포괄적인 솔루션·강력한 파트너십·글로벌 서비스
- MSP 87% “AI에 대해 더 많이 알아야”
- 기간 업무용 SaaS 애플리케이션 보호 플랫폼
- 수익은 올리고 보안은 강화하는 ‘ID 관리 솔루션’
- 최신 위협 방어 강화된 ‘AI 기반 이메일 보안 솔루션’
- MSP 성공하려면 “프로젝트 관리·서비스 자동화해야”
- '스마트 콘텐츠 분석'으로 '복잡한 악성코드·피싱 공격' 재빨리 차단
- [2025년 전망] 반드시 주목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
- 높아지는 사이버 위협, 만족도 높은 '사이버 보험 선택 전략'
- 중소기업에 필요한 ‘사람·프로세스·보안에 대한 심층 방어전략’ 지침
- 애브포인트, ‘와이덴틱’ 인수로 멀티 테넌트 관리 강화
- MSP 성장 3대 축 ‘산업 전문화·보안·기술 파트너십’...‘헬스케어·금융·제조’ 지속 성장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