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이 7과 AI 기술이 접목되면 네트워크 관리와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AI 기술이 접목되면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고, 트래픽을 예측 및 최적화하여 연결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장애나 혼잡 상황에서도 AI 기반으로 자가 복구 및 부하 분산이 가능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측면에서도 AI가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즉각 감지하고 대응해 보다 안전한 연결 환경을 제공해 스마트홈, 기업 네트워크 등 다양한 활용 영역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무선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글로벌 네트워킹 IT 솔루션 기업 시스코(cisco, 지사장 최지희)가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시스코 라이브 2024 멜버른’에서 위치 인식과 분석 솔루션 연동으로 스마트 워크플레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와이파이 7 액세스포인트(AP)’와 통합 구독 라이선스를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시스코 무선 와이파이 7 AP’는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로 원활한 관리 및 전환을 할 수 있다. 단일 라이선스로 와이파이 7 솔루션을 지원하며, 시스코의 통합 네트워킹 구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AP는 AI 기반 무선 성능과 프로파일 최적화 갖췄으며, 설치 즉시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아울러, 구독 라이선스에 포함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시스코 스페이스(Cisco Spaces)’로 기업은 업무 공간을 스마트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을 얻게 된다.
또한, 위협 탐지 기술을 바탕으로 AI 기기 프로파일링, 위협 방지, 고급 무선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를 지원해 안전한 연결을 제공한다. 그 밖에,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사우전드아이즈(ThousandEyes)’로 AI 및 자동화를 활용해 네트워크 전반의 성능 병목 현상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등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 및 최적화해 안정적인 연결 경험을 보장한다.
‘시스코 와이파이 7 AP’는 올해 11월부터 주문할 수 있으며, 배송은 12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시스코의 지투 파텔 부회장 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에 출시된 신제품은 연결성, 보안, 데이터, 안정성을 제공해 IT, 부동산, 시설팀이 장소 제약 없이 업무 및 고객 경험을 개선할 수 있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비정형 비디오 데이터 폭증, ‘비디오 분석’ 괄목 성장
- 시스코-OECD, '디지털 웰빙 허브' 출범... AI 윤리와 포용적 정책 수립 지원
- [Success Story] AI 기반 협업툴과 음성·영상 생성 혁신하는 AWS '아마존 베드록'
- 北 APT37, IE 취약점 악용 공급망 '제로클릭' 공격
- 삼성SDS-앤시스코리아, 클라우드 사업 협력
- 슈퍼브에이아이-시스코, 비전 AI 개발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 비즈니스 복잡성 증가로 사이버 공격 급증 ‘XDR 솔루션’으로 돌파
- AI·ML 기술 접목 ‘피싱 공격 대응 솔루션’ 견고한 성장세
- AI 구축 파트너 역량 평가법
- 세일즈포스, 10만명 AI 인재 양성에 5천만 달러 투자
- 유아이패스, ‘클로드 LLM’ 결합한 RPA...책임있는 AI·생산성 향상
- ZTE, 네트워크 속도·안정성 높이는 ‘AI 기반 고정 무선 접속 솔루션’ 공개
- AI 도입, ‘인재·인프라 준비’가 핵심
- 기업 인공지능 전환 보안관 시스코 ‘AI 디펜스’
- 시스코-엔비디아, 기업 AI 워크로드 최적화 통합 아키텍처 공동 개발
- Wi-Fi 7용 ‘광 네트워크 단말·이더넷 게이트웨이’...속도·안정성·유연성↑
- ‘중요 인프라·무선 네트워크’ 취약성 겨냥 사이버 위협 증가
- AI 기반 네트워크 평가 솔루션...네트워크 병목현상 사전 예방, 가용성·효율성 극대화
- 차세대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 확장 기술...고속·장거리·고유연성 연결 실현
- 생성AI 라이선스 사용률·비용 실시간 가시화...과소·과다·비인가까지 자동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