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문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과 기관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친화적인 업무 방식을 도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전통적인 종이 기반 문서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안성, 접근성, 비용 절감의 이점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디지털 기술 활용도가 전자문서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 있고, 정부의 디지털 혁신 정책과 비대면 업무 환경 확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에 따라 기업들이 전자문서 솔루션 도입을 적극 추진하면서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국내 전자문서 산업의 현황을 분석한 ‘2024년 전자문서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자문서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사업체 501개를 대상으로 2023년 산업 활동에 대한 ▲사업 현황 ▲해외진출 현황 ▲기술수준 및 시장평가 ▲인력 현황 ▲정책 수요 현황 등 6개 분야 27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전자문서 사업체의 매출 규모는 ‘22년 10조 5062억 원 대비 31.44% 증가한 13조 8094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세부 산업 분야별로는 전자문서 생산업의 매출이 4조 2818억 원(전년 대비 1조 7288억 원 증가), 관리업은 5조 4407억 원(전년 대비 3333억 원 증가), 유통업은 4조 869억 원(전년 대비 1조 2411억 원 증가)으로 전자문서 생애 전 주기 산업 전반에서 매출액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종이 없는 행정 실현 계획에 따라 모바일 전자고지 등 공공분야 수요가 증가했고, 민간분야에서는 전자영수증 등 신규 서비스 확산에 따라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금융업에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자문서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사업체 수는 2,900개로 전년 대비 147개 증가했으며, 전체 전자문서산업 종사 인력은 전년 대비 25.08% 증가한 약 6만 8781명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3만 8289명), 유지보수·운영(1만 1492명), 마케팅‧영업‧고객관리(6580명) 순으로 많았다.
전자문서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8.47%로 투입 규모는 전년 대비 3772억 원 증가한 1조 1708억 원이다. 수출, 거점 진출 등을 포함해 해외진출을 추진 중(예정)이거나 이미 진출한 사업체는 9.2%로 해외 진출에 대한 산업계의 지속적인 관심도 증가 추이가 관측되며, 진출 또는 진출 예정인 국가로는 북미, 동남아, 일본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다.
국내 전자문서산업의 매출 증가와 함께 종사 인력, 사업체 수, 투자 및 해외진출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선순환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매출 성장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전자문서산업 실태조사 통계자료는 KISA 누리집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KISA 이상중 원장은 “KISA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서 국민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전자영수증, 전자처방전 등 신규 서비스를 발굴 및 확산하고, 공공, 민간 분야에서 전자문서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ISA, 정보보호 해외 전략거점 기반 보안 수출 적극 지원
- 새로 추가된 대한민국 도메인 ‘ai.kr, io.kr, it.kr, me.kr’
- KISA, 악랄하게 진화하는 위협 대응 ‘피싱 예방 서비스’ 제공
- KISA,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협력 강화
- 개인정보위, 국민 편익 혁신 ‘2024 마이데이터 선도서비스’ 5대 과제 선정
- KISA,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 프로젝트 연계 통합 해커톤' 개최
- KISA, ‘그놈 목소리’ 학습한 AI로 보이스피싱 예방
- KISA, 중미 지역 사이버 보안 강화 협력
- 과기정통부-한국은행-금융위, CBDC 활용 '디지털 금융서비스 실증' 사업 협력
- KISA,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 전사 확대
- 유니닥스, IBK기업은행 주관 ‘IBK강소기업’ 선정
- 사업 수주율과 수익성 높이는 ‘생성AI 제안 관리 SW’
- 기업 보안 문서 분석 생성AI...제3자 위험 평가 및 보안성 강화
- KISA–KIIA, 지능형 CCTV 산업 육성 및 글로벌 진출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