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물리보안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과 기술 표준화 측면에서 여전히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지능형 CCTV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과 한국영상정보연구조합(이사장 황정현, 이하 ‘KIIA’)은 국내 지능형 CCTV 산업 육성과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협력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물리보안 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기획 및 발굴 ▲산업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신시장 창출 및 해외 시장 판로개척 지원 ▲물리보안 교육·훈련 및 인력 양성 ▲정책 교류 및 사업협력 인프라 활용 등의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KISA는 정보보호 해외 거점을 활용해 국내 물리보안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정책 교류 및 전방위적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KISA는 지능형 CCTV 성능 시험장과 결과를 제공하며 국내 물리보안 산업의 기반을 조성해 왔으며, KIIA는 영상 정보 기술 및 서비스 분야에서 공동 연구개발과 성과 확산을 선도해 왔다.
양 기관의 업무협약(MOU)은 지능형 CCTV 기술의 고도화와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협약이 국내 지능형 CCTV 산업의 발전과 AI 활용 영상정보처리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루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물리보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반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ISA, 10만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 시작
- KISA, 가명정보 활용 사례 발표회 개최
- 해외 스미싱 공격 실시간 방어하는 ‘애트리넷 URL 스캐너’
- 구글 클라우드, 국내 공공 시장 확장 발판 마련
- 사이버 침해사고 피해, 전년 대비 약 48% 증가
- KISA, 현장 특화 ‘지능형 물리 보안 시스템’ 개발 참여
- SGA솔루션즈, 보안기술 컨설팅 센터 총괄 ‘제로 트러스트 전문가’ 김광훈 전무 영입
- [2025년 전망] 핵심 보안 전략 ‘제로트러스트,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 KISA, 안전보건경영시스템 ‘KOSHA-MS’ 인증 획득
- 약진하는 국내 전자문서 산업 '13조 8094억 원' 규모...전년 대비 31.44% 성장
- KISA, 정보보호 해외 전략거점 기반 보안 수출 적극 지원
- KISA, 악랄하게 진화하는 위협 대응 ‘피싱 예방 서비스’ 제공
- KISA,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협력 강화
- KISA-과기정통부-국정원, 영세‧중소기업 대상 무료 암호모듈 컨설팅 추진
- AI 기반 전시회 방문객 분석 서비스...딥러닝 AI 카메라로 정확도와 보안성 높여
- KISA-KOIPA, 수출기업 대상 도메인이름 분쟁대응 협력 강화
- 에지·클라우드 결합한 ‘상황 인식 AI 보안 모니터링 솔루션’...감시 넘어 사고 사전 방지
- KISA, 중소기업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무료 컨설팅 제공
- KISA, 크롬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취약점 패치 권고...사용자 계정정보 유출 예방
- 한국인터넷진흥원-대만인터넷정보센터, 사이버보안 강화 국제 공조
- KISA, 선박 사이버 안전성 강화 기술 개발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