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텍스추얼 인텔리전스(Contextual Intelligence)는 AI가 특정 상황(Context)에 관련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해 사용자에게 맥락에 맞는 적절한 행동이나 결정을 지원하는 능력이다.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수준을 넘어 시간, 장소, 사용자의 상태, 환경 등 상황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다 개인화되고 직관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 특정 상황의 의미를 이해하고 표정, 제스처, 행동 등 비언어적 신호를 해석해 인간 수준의 직관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자율 주행, 스마트 비서 및 챗봇, 의료 및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컨텍스추얼 인텔리전스는 기계와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고 AI가 사용자의 고유한 상황과 요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응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인간 친화적인 AI 기술 발전의 핵심 요소로, 자율 에이전트 및 초지능(Superintelligence)의 기초가 된다.
글로벌 딥테크 기업 복셀센서스(VoxelSensors)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에서 인간과 기계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 AI가 휴머노이드 로봇 및 스마트 에이전트 기술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공개한다.

이 기술은 착용형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1인칭 시점(First Person View)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실제 경험 맥락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고급 컨텍스추얼 인텔리전스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기초 모델(FM)은 개인화된 맥락적 인사이트를 채택하고, 특히 현재 데이터세트와 모델에서 부족하지만 인간 수준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수적인 비언어적 신호(Non-Verbal Cues)를 통합할 수 있다.
복셀센서스는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 방식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고급 센싱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의 고유한 맥락에 맞춘 스마트 실시간 에이전트를 지원한다.
기술적 특징
광 감지 센서 ‘스페이스(SPAES, Sensing Photon-Aware Efficient Sensors)’와 ‘퍼셉트(PERCEPT) 추론 모듈’을 통합한 실시간 ‘센서 융합 시스템(Sensor Fusion System)’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착용형 장치에서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며, 사용자 경험 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수집한다.
① SPAES 센서 성능
SPAES 센서는 환경, 공간/3D, 시선 감지에서 기존 방법에 비해 정확성, 지연 시간, 전력 소비를 10배 이상 향상시킨다.
② 데이터 수집 최적화
사용자의 맥락에 따라 데이터 수집 방식을 능동적으로 조정하며, AI가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켜 개인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에이전트 기반 상호작용(agentic user experiences)을 구현하며, 효율적이고 맞춤형 사용자 지원을 제공한다.
복셀센서스 CEO 요하네스 피터스(Johannes Peeters)는 “사용자 관점에서 세상을 최대한 가깝게 볼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라며 “이 기술은 맥락적 추론 능력을 갖춘 차세대 AI를 가능하게 하고, 자율 에이전트와 슈퍼인텔리전스 시대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CES 2025] 일상을 변화시킬 첨단 로봇과 AI 로봇 애완동물
- [CES 2025] 100개 비디오 동시 처리, 에지 AI 활용 극대화하는 ‘MX3’ AI 가속기
- [CES 2025] 퀄컴과 마음AI 합작품, 인터넷 연결 없어도 음성 대화 가능한 AIoT
- [CES 2025] 실시간 녹음·다국어 번역·비서 역할까지 다기능 'AI 스마트 헤드셋'...스마크워크 협업 향상
- [CES 2025] 일렉트로 비트, 오픈 소스·가상 환경 기반 SW 기반 차세대 모빌리티 제시
- [CES 2025] 딥엑스, 온디바이스 AI 혁신과 글로벌 협력 성과 공개
- [CES 2025] 실시간 동적 환경 분석하는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 [CES 2025] ‘국산 지능형 수색 및 구조 시스템’...무선 통신 사각지대 해결해 생명 구조
- [CES 2025] 초소형·초경량·고효율 ‘AI 시선 추적 스마트 글래스’...메타버스·AR/VR·웨어러블 분야서 인기
- [CES 2025] ‘에지 서버·로봇 HW/SW·AI 보안·개발 보드·ADAS’ 에지 컴퓨팅 혁신의 주역
-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유연성·정확도 높이는 ‘하모닉 드라이브’
- [CES 2025] 서비스형 에이전트 탑재 ‘다용도 휴머노이드’...인간-기계 상호작용·정밀 작업 수행
- 운영 비용절감·고객 서비스 강화로 ‘챗봇 시장’ 성장 가속中…올해 103.2억 달러 전망
- 멀티 태스킹 가능한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15Kg 소포 작업 및 SPS 분류도 거뜬
- 99.99% 정확도로 환각 없는 초지능 전략 AI...국가 산업·안보·경제 경쟁력으로 부상
- 한국 딥테크 성공 전략...창업·투자·정책 등 다층적 협력 필요
- LG CNS–스킬드 AI,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산업 자동화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