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보험 기업 처브(Chubb)가 기업의 위협을 조사한 ‘360° 위험 판단: 지속 가능한 기업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위험(Risk Decisions 360°: Emerging Risks That Can Impede Sustainable Company Growth)’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다양한 산업과 세 가지 사업 규모(중소기업: 매출 5만 달러 이상 3천만 달러 미만, 중간 규모 기업: 3천만 달러 이상 10억 달러 미만, 대기업: 10억 달러 이상)에 걸쳐 517명의 경영진 대상의 해리스 여론 조사를 분석했다.

핵심 키워드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보안과 악성 AI 조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기술 혼란이 사업 성장의 주요 위협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0%가 사이버 침해 및 데이터 유출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으며, 사고, 규제, 사회 불안, 유해 물질 노출 다른 위험 요인은 25%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사이버 보안은 주요 지정학적 위험으로 경영진의 60%가 언급한 반면, 자원 부족, 기후 변화, 정치적 불안정 및 기타 위험은 모두 40% 이하의 응답률을 보였다.
또한 기업의 86%가 사이버 공격, 자연 재해 또는 공급망 혼란과 같은 사건에 대비한 사업 중단 보험에 이미 가입했거나 곧 가입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53%는 이미 보험에 가입했으며, 3분의 1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추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데이터 유출이 관건
설문 조사에 참여한 경영진들은 새롭게 부상하고 진화하는 광범위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3분의 1 이상은 회사가 위험 완화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대기업 경영진의 74%가 사이버 보안을 성장의 주요 위험으로 꼽았으며, 40%는 사이버 침해 및 데이터 유출이 가장 큰 혼란과 재정적 부담을 초래하는 인위적인 위협이었다고 보고했다.
사이버 이벤트 모니터링은 기업이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위험 완화 도구이며, 경영진의 84%는 이를 조직의 필수 기능(41%)으로 완전히 통합했거나 정기적으로 사용(43%)하고 있으며, 14%는 특정 상황에서 사용한다고 답했다.
AI 조작으로 인한 기술적 혼란
기업의 79%가 위험 관리에 AI를 도입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딥페이크와 같은 AI 관련 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50% 이상이 AI 관련 위험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기술을 우선시하는 경영진의 경우 데이터 무결성(56%)과 디지털 전환 과제(53%)가 주요 관심사였으며, 특히 중간 규모 기업(60%)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경영진의 59%는 현금 흐름을, 56%는 인플레이션과 금리를 성장의 중요한 장애물로 지적했으며, 특히 중소기업(70%)은 현금 흐름 문제로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경영진의 89% 이상이 기술적 취약성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사이버 보험 보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 AI로 인한 초개인화 공격 시대 도래
- 中 APT 그룹, 美 재무부 워크스테이션·문서 대규모 사이버 공격 감행
- 생성AI에 의한 송장 사기 급증
- [2025년 전망] AI 기반 ID 도용 범죄 급증 우려
- ‘AI 가짜 이미지’ 심각성에 ‘가짜 이미지 탐지’ 시장 파죽지세 성장
- [2025년 전망] “AI로 더 정교해지는 신원 도용·사기·데이터 도난 위협”
- 백업 SW·서버·스토리지 통합 어플라이언스 ‘액티브프로텍트’...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보호 간소화
- ‘AI 법‧규제‧정책 플랫폼’ 코딧,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고문 위촉
-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능 추가된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
- 美 연방기관 ‘연방 데이터 지침’ 발표...공공 데이터 개방성 및 개인정보 보호 균형 강화
- AI 사이버 위협·허위 정보 방지 ‘다크사이드 AI 이니셔티브’
- AI 사기 막는 첨단 주입 공격 방어 기술
- 데이터 통합 플랫폼에 결합된 ‘AI 기반 데이터 거버넌스’...데이터 무결성 유지
- 인터넷 규제 미비 국가, 딥페이크 사기 범죄 온상으로…국제 사회 협력 시급
- AI 취약점 스캐닝 시장 2029년 2배 성장...실시간 위협 대응 수요 급증
-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위협·런타임 위협·에이전트 보호 대응 통합 보안 플랫폼 '프리즈마 에어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