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 솔루션 글로벌 기업 트렌드마이크로(지사장 김진광)가 자사의 사이버 보안 전문 연구 기관인 트렌드마이크로 리서치의 2025년 최신 보안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트렌드마이크로의 2025년 최신 보안 전망 보고서 “The Easy Way In/Out – 인공지능의 미래를 안전하게”는 고도로 맞춤화된 AI 기반 공격이 우리 삶에 더욱 쉽게 파고들어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보고서는 AI가 야기할 수 있는 위협과 취약점의 다양한 측면과 “딥페이크”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악성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고하고 있다. 유출된 개인 식별 정보(PII)로 특정 인물의 배경 지식, 성격, 글쓰기 스타일을 모방하도록 LLM을 훈련하는 데 사용하거나, 딥페이크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손상된 생체 인식 데이터와 함께 배포하여 신원 도용에 활용하고, 가장 가까운 지인과 가족, 직장 동료를 착각에 빠뜨리게 할 수 있다.
그 외 트렌드마이크로 리서치가 꼽은 2025년 주요 보안 위협 주제는 ▲AI 시대의 사기 증가로 딥페이크, 악성 디지털 트윈, AI 도구의 확산 ▲APT 범죄 조직의 클라우드 환경과 공급망의 집중적 공격 ▲랜섬웨어 그룹의 합법적인 도구 및 애플리케이션 악용 사례 활성화 ▲공격 툴 트렌드: 주의해야 할 정보 수집 방식과 악성 광고 등을 꼽고 있다.
존 클레이(Jon Clay) 트렌드마이크로 글로벌 위협 인텔리전스 총괄 부사장은 “생성AI가 기업과 우리 사회에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AI가 끼칠 위협에 대해 그만큼 더 경계해야 한다. 초개인화된 공격과 악성화된 AI의 파괴적 위협에 대비하려면 업계 전반에 걸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모든 경영진에게 사이버 위협과 보안 위험에 대한 관점 자체를 바꿔야 한다. 모든 보안 위험은 궁극적으로 비즈니스에 치명적인 위험 요소이며, 기업의 미래 전략과 방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트렌드마이크로는 올 한해 주목해야 할 위협 환경의 주요 이슈를 전망하는 심층 보고서 발간과 함께, 주요 보안 위협의 핵심 내용과 대응 방안까지 제시하는 웨비나를 1월 21일 오후 3시에 개최한다. 트렌드마이크로의 ‘2025 보안 전망과 대응’ 웨비나는 트렌드마이크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등록하여 참여할 수 있다.
관련기사
- 디지털 시대의 필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보안’ 고속 성장
- 트렌드마이크로 통합 이메일 보안,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리더로 선정
- “AI와 클라우드 보안 걱정, 트렌드마이크로가 해결하겠다”
- 트렌드마이크로, 마이터 어택 평가 100% 커버리지 달성
- 트렌드마이크로-에스넷ICT, 서버 보안 솔루션 공공시장 확대 협력
- 기업 비즈니스 혁신에 필요한 AI 솔루션에 주목하라
- 글로벌 CNAPP 보안 시장, 전년 대비 31.5%성장
- “NABS 2024, 글로벌 빅테크가 전하는 비즈니스 혁신 AI·빅데이터 실용 전략”
- 기업 보안 필수 3대 요소 “인력·공격표면 관리기술·프레임워크”
- AI 위협·AI 기술 이슈 및 7대 공격 벡터 대응 통합 보안 플랫폼 ‘트렌드 비전 원’
- ‘컨테이너 보안 시장’ 기업 DX 가속·마이크로 서비스 증가로 급성장세
- “비즈니스 혁신과 성공으로 가는 AI 실용 전략, NABS 2024"
- 탐지되지 않는 보안 위협 찾아내는 ‘보안 분석’ 활용 증가
-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보안 강화하는 통합 이메일 보안 솔루션 ‘트렌드 비전 원 ECS’
- 트렌드마이크로, ‘딥페이크·AI 기반 사이버 공격 차단 기술’ 발표
- 미 패치 취약점으로 데이터 유출 평균 비용 445만 달러
- [CES 2025] 인텔, ‘AI PC·에지 컴퓨팅 프로세서’ 제품군 대거 공개
- 기업 성장 주요 위험 ‘데이터 유출, AI 위협’
- “파일리스 공격과 랜섬웨어, CPU 기반 엔드포인트 AI 보안 솔루션으로 강력 대응”
- IEEE, 2025년을 주도할 기술 5대 전망 발표
- 신원 도용 사전 예방·사후 대응 전전후 ‘신원 보호 솔루션’…다크웹과 소셜 미디어 보안 강화
- 컴트루테크놀로지, 생성AI·LLM 데이터 보안 솔루션 ‘스핑크스 AI’ 출시
- “맞춤형 개인 광고와 개인 정보 보호의 딜레마”
- AI 기반 OSINT 검색 기능 강화된 ‘카스퍼스키 스레드 룩업'…보안 데이터 제공 범위↑
- 랜섬웨어 지난 분기 46% 급증, '클롭' 최대 위협으로 부상
- AI 사기 막는 첨단 주입 공격 방어 기술
- 보안 특화 AI ‘트렌드 사이버트론’…사이버 위협 예측 및 대응 자동화로 보안 운영 최적화
-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취약점, 전문가 인식과 실제 환경 달라”
- 트렌드마이크로, 사이버 보안 특화 AI ‘트렌드 사이버트론’ 오픈소스 모델 공개
- 사이버 위협 대응, 선제적 통합 관리가 핵심 전략으로 부상
- 공격 표면 예측·통제하는 CREM 기반 ASM 통합 솔루션...산업 전반에 선제적 대응 체계 확산 중
- 생체 인식 기술로 인신매매 및 범죄 대응 역량 강화
- 트렌드마이크로-엔비디아, 사이버트론 기반 AI 팩토리 보안 전략 발표
- 트렌드마이크로-델-엔비디아, AI 보안 인프라 통합 어플라이언스 공개
- 트렌드마이크로, 생성AI 기반 보안 도구 확대 속 AI 위협 환경 고도화 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