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는 제품 기획부터 설계, 구현, 검토, 배포까지 수많은 협업과정이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는 업무 분배, 상태 업데이트, 문서화 등 반복적이고 비생산적인 작업에 상당한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특히 협업 도구 간 정보가 단절되고, 요구사항 정리나 진척 관리가 수동으로 이뤄질 경우, 개발 속도와 품질 모두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최근 AI 기술을 활용해 프로젝트 관리와 업무 분배, 문서 정리를 자동화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AI를 활용한 개발 자동화와 협업은 소프트웨어 개발팀이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팀 단위의 프로젝트 관리에 특화된 AI 기반 솔루션은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협업형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기업 숏컷(Shortcut)이 AI 에이전트를 개발 팀이 수행해야 할 기능 단위 업무(스토리)로 할당하는 플랫폼 ‘숏컷 포 에이전트(Shortcut for Agents)’의 정식 출시를 발표했다.

‘숏컷 포 에이전트’ 화면
‘숏컷 포 에이전트’ 화면

AI 기반 업무 할당 자동화 및 외부 에이전트 통합 지원

이 플랫폼은 AI 에이전트를 인간 개발 워크플로에 팀원으로 통합한다. 숏컷 플랫폼 내에서 AI 에이전트에게 직접 업무를 할당하고, 댓글로 태그하며, 진척 상황을 추적하고 협업할 수 있다. 모든 프로세스는 기존 숏컷 환경 내에서 이뤄져 별도의 도구 전환이 필요 없다.

이 기능은 서드파티 에이전트 통합도 지원한다. 스토리 오너로 지정되면 자동으로 스토리를 ‘개발 중’, ‘검토 준비 완료’ 단계로 전환할 수 있으며, 진행 내역은 스토리 댓글 내에 기록된다. 이를 통해 반복 업무는 자동화되고, 제품·엔지니어링 팀은 고부가가치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코레이’, 업무 생성·분해·업데이트 자동 수행

숏컷은 AI 프로젝트 관리 에이전트 ‘코레이(Korey)’를 공개했다. 코레이는 개발이 가능한 스토리를 자동으로 작성·구조화하고, 업무를 세분화된 하위 과업으로 나누며, 모호한 요구사항을 명확한 실행 계획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작업이 어디까지 진행됐는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중요한 기술 결정도 자동으로 정리하며, 어떤 작업이 무엇에 의존하고 있는지도 추적해  협업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코레이와의 상호작용을 전용 웹 인터페이스나 슬랙(Slack) 내 멘션(@korey), 혹은 스토리 할당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모든 상호작용은 플랫폼 간 자동 동기화된다.

숏컷 커트 슈레이더(Kurt Schrader) CEO는 “최고의 도구란 복잡성을 더하지 않고, 팀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며 “숏컷 포 에이전트와 코레이로 AI를 제품 개발의 자연스러운 일부로 만들고 있으며, 아이디어에서 실행까지의 속도를 더욱 높이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