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LG CNS와 완전 관리형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솔루션 ‘클라우드 완(Cloud WAN)’을 활용해 LG 그룹 계열사 및 LG CNS 엔터프라이즈 고객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클라우드 WAN은 전 세계적 규모의 구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애플리케이션 성능에 최적화돼 있다. 기업은 클라우드 WAN을 활용해 공용 인터넷 대비 더 빠른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직접 관리하는 광역 네트워크(WAN) 솔루션 대비 총 소유비용(TCO)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AI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효율적인 통신과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해 고객 서비스를 향상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간 원활한 통합으로 AI 혁신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구글의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고객이 새로운 지사를 오픈하거나 해외 서비스를 시작할 때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지원한다.
아울러 AI,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 여러 환경에서 애자일한 네트워크 관리와 유연한 확장이 가능하다. 나아가 SD-완(WAN), VPN, 인터커넥트 등 클라우드 광역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결 옵션으로 비즈니스별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중앙 집중식 보안 정책과 고도화된 위협 탐지 기능을 통해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산업 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번 협력으로 양사는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이 최적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AI 트랜스포메이션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LG 그룹사는 물론, 국내외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고객의 AI 전환을 지원할 수 있게 돼 의미가 크다.”라며, “구글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전 세계 수십 억 명 사용자에게 구글 검색(Search), 지메일(Gmail), 유튜브(YouTube)와 같은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트워크 혁신을 이끌어 왔다. 클라우드 WAN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AI 시대를 위한 차세대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하며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클라우드 환경 침해·제로데이 공격 급증..조직 보안 가시성과 대응 전략 강화 필요
- 악용 가능한 취약점, 클라우드 자산 3개중 1개에서 발견
- 구글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데이 서울’ 개최
- 오라클-구글 클라우드, 멀티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협력 강화...파트너 프로그램 및 베이스 DB 서비스 공개
- LG CNS-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AX 시장 본격 공략
- 구글 클라우드, AI 인프라부터 에이전트까지 전방위 AI 기술 공개
- 구글 클라우드, MMORPG ‘리니지2M’ 동남아 서비스 지원
- AI 코딩 환경 최적화하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 인프라 통합 솔루션’
- 구글 클라우드, 업무 효율성과 수익 최적화 지원 'AI 파트너 도구 3종' 출시
- 구글 클라우드, AI 인프라와 레지던시 혁신 공개
- LG CNS, 곤충 스마트팩토리팜 사업 본격화
- LG CNS-하니웰, 美 제조AX 시장 공략 본격화
- LG CNS, 클라우드·AI 성장 속 "2분기 매출 1조 4602억 달성"
- AI 영상 생성 ‘비오 3·비오 3 패스트’ 정식 출시...텍스트만으로 마케팅·데모 영상 제작
- 구글 클라우드, AI 코딩 협업 도구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 출시
- LG CNS, ‘에이전틱 웍스·에이엑스싱크’ 공개...에이전틱 AI로 업무 혁신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