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AI 기술과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서, 고성능 컴퓨팅 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 초기 단계에서 막대한 연산 능력을 요구하는 AI 모델 학습 환경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국내 연구기관과 학계의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클라우드 기반 GPU 인프라를 활용해 국내 AI 연구 생태계를 강화하고,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는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2025년 AI 연구용 컴퓨팅 지원 프로젝트’ 사업에서 국내 주요 연구기관의 AI 연구(R&D)를 위한 첨단 클라우드 기반 GPU 공급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내 AI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정부 주도 프로젝트로, 클라우드 기반의 고성능 GPU 인프라를 국내 산·학·연 연구기관에 제공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AWS는 6월 23일부터 8개월간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고성능 AI 특화 서버(Instance)는 생성AI 연구와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을 위한 컴퓨팅 파워를 지원해 국내 연구기관들의 AI 연구를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AWS 웹 콘솔을 통해 직접 서버를 생성하고 운영하며, 개발 환경 구성과 데이터 관리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WS는 연구자 대상 오프라인 교육, 개발 프레임워크 및 오픈소스 설치, 데이터 백업 및 결과물 이관 등 연구 환경 전반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AWS는 올해 3월 국가종합전자조달 공공기관 경쟁입찰 참가 자격을 확보했다. 이번 수주는 AWS가 정부 사업의 GPU 공급사(GPUaaS)로 선정된 사례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정부 주도 AI 연구 지원에 참여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WS는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국내 AI 연구 생태계에 기여하고, 향후 공공부문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자사의 AI/ML 서비스와 글로벌 우수사례를 연구자들과 공유하며, 국내 클라우드 보안규정을 준수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연구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WS코리아 윤정원 공공부문 대표는 “AWS의 글로벌 AI 서비스와 인프라, 그리고 연구 지원 역량은 최고 수준의 보안과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적 수준의 컴퓨팅 환경에서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으로도 AWS는 한국의 AI 연구자들이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글로벌 AI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