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의 디지털 인프라가 복잡해지고 보안 위협이 정교화되면서, 기존 보안 시스템만으로는 충분한 대응이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보안 솔루션 도입에 따른 도구 난립, 인력 부족, 24시간 운영 부담이 가중되면서, 매니지드 서비스 제공업체(MSP)에 대한 의존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중소기업(SMB)뿐 아니라 중견기업과 대기업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AI 기반 보안 솔루션과 통합 보안 관리 역량을 갖춘 MSP가 기업의 생존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이버 보안 솔루션 기업 바라쿠다 네트웍스(Barracuda Networks, 이하 바라쿠다)는 'MSP 고객 인사이트 보고서 2025'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바라쿠다가 독립 시장 조사기관 밴슨본(Vanson Bourne)과 공동으로 실시한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이번 조사에는 미국, 유럽, 아시아 태평양 등 전 세계 11개국의 50명에서 2000명 사이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 소속 보안 의사결정권자 2000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는 MSP가 단순 외주 서비스 공급자를 넘어 기업 보안 전략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MSP 의존도 증가와 조직 규모별 활용 양상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2%는 연결되지 않은 다수의 보안 도구와 공급업체를 관리하기 위해 MSP의 지원을 원한다고 답했다. 또한 51%는 사업 확장과 함께 보안 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해 MSP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48%는 24시간 보안 지원을 위해 MSP에 의존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73%는 현재 MSP와 협력 중이며, 협업을 고려하거나 평가 중인 비율까지 포함하면 총 96%가 MSP 파트너십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MSP가 전 세계 기업들의 보안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에 MSP는 주로 중소기업의 리소스로 인식됐지만,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00명에서 2,000명 사이 직원을 보유한 기업의 85%가 보안 지원을 위해 MSP에 의존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50명에서 100명 규모의 중소기업은 61%가 MSP를 활용하고 있었다.
고급 보안 기술력에 대한 수요와 지불 의향 확대
향후 2년 동안 기업들은 AI 및 머신러닝 기반 보안 기술, 제로 트러스트 접근 제어, 관리형 보안 운영 등 MSP의 고급 기술력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응답 기업의 92%는 보안 도구 통합 지원에 대해 최대 25%의 추가 비용 지불 의사를 밝혔다.
보고서는 동시에 높은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는 MSP에 대한 불만도 지적했다. 응답자의 45%는 MSP가 24시간 연중무휴 보안 대응 역량을 입증하지 못할 경우 공급업체를 변경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MSP의 복원력 부족, 공격 대응 미흡 등은 고객 이탈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바라쿠다 제품 관리 부사장 브라이언 다우니(Brian Downey)는 "이번 보고서는 MSP가 현대 사이버 보안 복잡성에서 고객의 주요 파트너임을 보여준다"며 "MSP는 연결되지 않은 보안 도구 문제 해결부터 복원력과 고급 지원 제공까지 막중한 과제를 안고 있다. 바라쿠다는 통합 보안 플랫폼, 24시간 전문가 모니터링 및 지원, 제품 혁신을 통해 MSP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트너사 의견도 포함됐다. 아우라 테크놀로지(Aura Technology)의 리처드 플랜더스(Richard Flanders) 영업 이사는 "오늘날 MSP는 단순한 서비스 제공자를 넘어 고객의 다층적인 보안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적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며 "MSP가 24시간 연중무휴 보안 운영이 가능한 공동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면 생존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레디온(Tredion)의 로이 드 브루인(Roy de Bruin) 영업 이사는 "이번 조사 결과는 AI와 고급 보안 조치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많은 기업들이 복잡한 IT 보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MSP의 전문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MSP 산업이 빠르게 고도화된 보안 수요에 적응해야 한다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고객은 단순한 운영 지원을 넘어 고급 기술 역량, 지속적인 대응 능력, 통합 보안 서비스 등을 MSP에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MSP의 기술 투자와 서비스 혁신 방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관련기사
- "AI 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 MSS·MDR 시장 재편 이끈다"
- AI 기반 멀티 테넌트 보안 플랫폼, MSSP 시장서 인기
- 정교하고 복잡해지는 AI 공격, 방어 최선책은 통합 보안 서비스
- 카스퍼스키, 노출된 컨테이너로 침투하는 암호화폐 채굴 악성코드 발견
- 사이버 위협 대비 ‘관리형 보안 서비스’ 급부상...디지털 자산 보호
- AI 위협 선제적 대응하는 패치 및 데이터 보안 관리 서비스
- MSP 서비스 확장성·수익성 높이는 ‘차세대 통합 보안 플랫폼’
- 자동화 보안 검증 급증에 ‘침투·공격 시뮬레이션 시장’ 괄목한 성장세
- 사이버 침입, 몇 시간 안에 잡는 ‘사이버 조사 서비스’...SMB·MSSP 위험 감소
- “AI 위협 대응 보안 서비스” 투자 전략 부상...GRC·위협 인텔리전스·관리형 보안 서비스 주목
- 식품·IT·통신·산업 부문, 심각한 보안 사고 증가
- 랜섬웨어 지난 분기 46% 급증, '클롭' 최대 위협으로 부상
- AI 기반 SOC 주도하는 ‘자율 보안 운영 솔루션’
- 카스퍼스키, QKS ‘관리형 보안 서비스·디지털 포렌식·사고 대응’ 리더 선정
- 고속 위협 탐지·대응하는 실시간 인텔리전스 기반 ‘관리형 보안 서비스 MSS’...의료·방위 산업 보안 강화
- ‘고객 중심 AI MSP 플랫폼’...자동화 엔진·예측 보안으로 운영 효율·안전성↑
- [기고] 보안 도구가 많을수록 위험은 커진다...중견 기업이 쉽게 빠지는 스프롤의 함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