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아바타 솔루션은 사용자의 외형, 표정, 동작 등을 3차원으로 디지털화해 구현하고, 이를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로, 게임과 소셜미디어뿐 아니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이커머스, 원격 교육, 기업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산업에 확산되고 있다. 특히 생성AI와 실시간 렌더링 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디지털 고객경험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 3D 아바타 솔루션의 도입이 급증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 파트너스(The Insight Partners)가 발표한 ‘글로벌 3D 아바타 솔루션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억 8348만 달러(한화 약 2385억)에서 2031년 12억 3437만 달러(한화 약 1조 6046억)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31.3%에 달할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 성장 요인
기업들은 디지털 우선 전략과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확산에 따라, 더 몰입감 있는 고객 접점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AI,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통합한 3D 아바타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생성AI 기반 음성, 표정, 동작 생성 기술은 아바타의 현실성과 상호작용성을 높여, 기존 정적 콘텐츠 대비 압도적인 몰입감을 제공한다.
① 이커머스 플랫폼 내 가상 피팅 및 AI 응대 수요 증가

아시아개발은행에 따르면, 글로벌 GDP에서 이커머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3.8%에서 2025년 6.4%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아태 지역은 글로벌 B2C 이커머스 시장의 61%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3D 아바타 솔루션의 수요 확대와 직결된다.
3D 아바타는 온라인 쇼핑에서 가상 착장, AI 기반 상담, 제품 시연 등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반품률 감소와 전환율 증대 효과로 이어진다.
② 영상 콘텐츠 창작 플랫폼과 소셜미디어의 아바타 활용 급증
AI 기반 영상 편집 스튜디오 캡션즈(Captions)는 2025년 자사 플랫폼에 'AI 크리에이터(AI Creator)'를 적용, 사용자 아바타를 영상의 주인공으로 등장시키는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는 아바타의 조명, 의상, 배경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 크리에이터와 브랜드 모두에게 새로운 콘텐츠 생성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활용은 아바타가 단순한 디지털 복제 수준을 넘어, 콘텐츠 중심체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③ 텍스트 기반 3D 영상 생성 등 기술 융합 확산
렌도라(Rendora)는 생성AI와 3D 그래픽 엔진을 결합한 텍스트 기반 3D 영상 생성 플랫폼을 출시했다. 텍스트 명령어만으로 하이엔드 3D 영상과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는 이 플랫폼은 비전문가도 고품질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3D 아바타 솔루션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다. 음성, 표정, 동작, 카메라 샷까지 자동화된 영상 생성 기능은 향후 광고, 교육, 브랜딩 전반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 과제
3D 아바타 솔루션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현실감 있는 렌더링과 실시간 상호작용 구현에는 높은 컴퓨팅 자원과 대역폭이 요구돼 따른 비용 부담과 인프라 구축이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와 아바타의 윤리적 사용에 대한 규제 이슈도 시장 확대의 제약 요인으로 지적된다.
시장 현황
3D 아바타 솔루션 시장은 모델 유형, 산업 분야, 지역별로 다양하게 세분화되고 있다. 모델 유형에서는 스타일라이즈드(stylized), 리얼리스틱(realistic), 퓨처리스틱(futuristic) 아바타로 구분되며, 현실적인 리얼리스틱 아바타의 수요가 증가 추세다.

산업별로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패션 분야에서 아바타 솔루션의 도입이 활발하다. 미디어 분야에서는 가상 캐릭터 방송, 헬스케어에서는 환자 상담 및 시뮬레이션 훈련, 패션 분야에서는 가상 피팅과 스타일 추천 시스템에 적용된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2024년 기준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북미는 메타버스, 가상회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등 아바타 기반 디지털 경험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으며, 관련 스타트업 및 기술 기업도 활발하게 등장하고 있다. 아태지역은 이커머스 중심의 성장과 함께 시장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3D 아바타 솔루션 시장에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모션웍스(MotionWerx), 텍셀(Texe), 오센서스(Osensus), 바디지(Bodygee AG), 폴리가(Polyga), 인쓰리디(IN3D), TG3D 스튜디오(TG3D Studio), 잇시즈쓰리디(Itseez3D), 3D 제너레이션(3D Generation) 등이 대표적인 기술 공급업체로, 각사는 3D 스캐닝, 모션 캡처, 클라우드 기반 렌더링 등에서 특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기사
- 오버더핸드-댄스트럭트, 모션 연동 콘텐츠 생태계 확장 협력
- 감정 인지 기반 스마트 홈 기술의 진화...몰입형 AI 동반자 기기 인기
- ‘아바타 SDK’ 카메라 영상으로 3D 아바타를 빠르고 쉽게!
- [2025년 전망] 세계가 주목할 AI 기술과 산업 전망
- AI 보컬 제거·AV1·프로레스 지원 '비디오 편집 SW'...영상 편집 효율·품질↑
- 온라인 쇼핑, ‘밀리초 전쟁’ 끝...안정성과 공정성이 새 기준
- 쇼핑객은 AI 보다 “가격 경쟁력· 개인화·옴니채널 우선”
- 리빌더AI, CES 2026 혁신상 2관왕...AI로 디자인부터 제조까지 통합 혁신
- [2026년 전망] 검색·클릭 없는 구매 ‘인비저블 커머스’...AI와 자동화 결제가 바꾸는 이커머스 혁신
- 메타버스에 ‘냄새’가 켜졌다...200종 향기 실시간 동기화 기술 등장
- AI 주도 커뮤니케이션 확산...조직의 신뢰·정책·역할 균형이 생존 조건
- 무결과 검색 사라지고 전환률 올라간다...실거래 데이터 기반 AI 탐색 기술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