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일본에서는 공공·금융·유통 전반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 자격증명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가 공인 신분증을 기반으로 한 인증 서비스 확산과 민관 협력 강화가 주요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이정아)’가 일본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기업 사이버링크스(대표 히가시 나오키)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자격증명 통합 플랫폼 ‘옴니원 디지털아이디(OmniOne Digital ID)’ 기반 디지털 자격증명 발급 사업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2022년 ‘일본전자증명서 유통기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이후, 이번 계약으로 실질적인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사이버링크스는 일본 내 금융·유통·공공 분야 고객을 대상으로 옴니원 디지털아이디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자격증명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사이버링크스는 일본 정부의 공적 신분증 ‘마이넘버카드’를 활용한 인증 및 전자인증서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토익(TOEIC) 디지털 인증서를 포함해 140만 건 이상의 디지털 증명서를 발급했다. 최근 일본 정부가 디지털청을 중심으로 민관 통합 디지털 혁신 정책을 추진하면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격증명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
라온시큐어의 옴니원 디지털아이디는 개인 신원 확인은 물론 자격·학력·경력 등 다양한 디지털 증명서를 안전하게 발급·검증할 수 있다. 일본 정부의 디지털 개혁 정책과 민간 금융·유통 기업의 요구에 대응하는 신뢰 인프라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급하고 있는 모바일 신분증에도 라온시큐어의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 기술이 적용됐다.
라온시큐어는 일본에서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 ‘터치엔 원패스(TouchEn OnePass)’로 월간 활성 사용자(MAU)가 900만 명을 돌파하며 일본 시장 내 안정적 성과를 기록 중이다. 이번 계약을 계기로 생체인증에 이어 디지털 자격증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일본 디지털 인증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라온시큐어 이순형 대표는 “일본에서 검증된 생체인증 성과에 더해 옴니원 디지털아이디로 디지털 자격증명 시장을 선도하며 글로벌 신원·자격 인증 시장의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사이버링크스 미즈마 이츠노부 CTO는 “라온시큐어의 DID 기술이 일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라며 “특히 일본 디지털 증명서 시장에서 필요한 라온시큐어의 DID 플랫폼을 전략적 파트너로 함께 운영하며 성공 사례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라온시큐어, 웹3·AI 융합 보안 전략 공개…데이터 주권·초연결 사회 실현
- 라온시큐어, ‘옴니원 배지’로 공공 교육 ‘디지털 새싹’ 수료증 발급
- 라온시큐어, 2025 시큐업&해커톤 개최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기반 가상 키패드 GS인증 1등급 획득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민간분야 확산사업 선정…‘소통 3.0 플랫폼’ 개발 착수
- 라온시큐어, 클라우드 통합계정 관리 서비스 ‘옴니원 억세스’ 출시
- 사이버링크, 레노버 AI PC레디 ...인증 획득
- K-DID, 글로벌 디지털 신분증 표준으로 확산...라온시큐어, 라오스 정부 대상 기술 교육 실시
- 전자연구노트 ‘구노’, 위·변조 방지·법적 증거력 확보 기술 선봬
- 라온시큐어, 스페인 22개 기업 대상 블록체인 ID 기술 공유
- 생성AI 라이선스 사용률·비용 실시간 가시화...과소·과다·비인가까지 자동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