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신뢰성과 개인정보 보호는 산업 전반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중앙집중형 데이터 구조는 위·변조와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안고 있어 새로운 대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블록체인과 분산 신원 확인(DID), 영지식증명(ZKP) 기술은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강화를 위한 필수적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는 블록체인 전문기업 지크립토(대표 오현옥)와 함께 ‘소통 3.0: 블록체인 기반의 참여형 커뮤니티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추진하는 ‘2025년 블록체인 민간분야 확산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실생활에 확산시키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다.
라온시큐어와 지크립토는 블록체인·DID·영지식증명 기술을 융합해 여론조사와 커뮤니티 서비스의 신뢰도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플랫폼을 실증한다. 라온시큐어는 자사의 블록체인 및 ‘옴니원 엔터프라이즈(OmniOne Enterprise)’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보안성을 강화한다.
‘소통 3.0 플랫폼’은 기존 중앙집중형 인증·저장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설계됐다. 유관기관 및 실증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검증이 진행되며, 사용자는 모바일 신분증을 통해 개인정보 제출 없이도 투표 및 여론조사 자격을 인증할 수 있다. 응답 결과는 익명 처리 후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여론조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라온시큐어의 ‘옴니원 엔터프라이즈’는 국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및 운전면허증 등 주요 신분증 서비스에 적용된 바 있으며,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듬과 FIDO 생체인증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특히 영지식증명 기술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한다.
향후 라온시큐어와 지크립토는 대학과 민간기업 등 다양한 기관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플랫폼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 기관 및 국제기구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라온시큐어 이정아 대표는 “이번 사업은 블록체인 기반 통합 참여 플랫폼을 통해 신뢰 기반 온라인 여론조사와 커뮤니티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며, “검증된 블록체인과 DID 기술을 토대로 일상과 밀접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라온시큐어, 클라우드 통합계정 관리 서비스 ‘옴니원 억세스’ 출시
- 라온시큐어, PQC 기반 키패드 암호화 특허 취득
- 라온시큐어, 코스타리카 디지털 ID 민간 확산 사업 본격화
- 라온시큐어-파이디지털헬스케어, 양자내성암호로 의료 데이터 보안 강화 협력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디지털 ID 기술 기반 ‘AI 인재’ 인증 체계 구축
- 라온시큐어, 옴니원 플랫폼으로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구축’ 사업 수주
-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서 월이용자수 700만 돌파
- AI·블록체인·IoT 융합, 더 빠르고 더 안전한 모바일 앱 개발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기반 가상 키패드 GS인증 1등급 획득
- 라온시큐어, 2025 시큐업&해커톤 개최
- EU 개인정보보호 규제 대응, 기업 경쟁력의 핵심 과제로 부상
- 라온시큐어, ‘옴니원 배지’로 공공 교육 ‘디지털 새싹’ 수료증 발급
- 라온시큐어, 웹3·AI 융합 보안 전략 공개…데이터 주권·초연결 사회 실현
- 라온시큐어-사이버링크스, 옴니원 디지털아이디 라이선스 계약...日 디지털 자격증명 시장 본격 공략
- K-DID, 글로벌 디지털 신분증 표준으로 확산...라온시큐어, 라오스 정부 대상 기술 교육 실시
- 라온시큐어, 스페인 22개 기업 대상 블록체인 ID 기술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