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가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웹3와 AI로 연결되는 미래’를 주제로 ‘2025 시큐업&해커톤’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올해 13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국내외 보안·인증 전문가와 산업계 관계자가 대거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렸다.

이순형 대표는 “데이터 주권은 디지털 사회의 기본권”이라며 생애 전주기를 아우르는 디지털 신원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Web3가 AI의 빅데이터 독점과 악용을 완화하고, AI가 웹3의 자율적 의사결정을 보완하는 상호 보완 관계임을 설명했다. 라온시큐어는 NFT·스테이블코인 기반 토큰경제, DID·AI 의료·교육·금융 데이터 플랫폼, 양자내성암호(PQC), 영지식증명(ZKP) 등 미래형 보안 플랫폼을 공개했다.
행사에서는 제로 트러스트 전략, AI 보안, PQC 기반 정보보호, 국정원 국가보안망체계(N2SF) 가이드라인 1.0 대응 전략이 공유됐다. 김용성 원광대 교수는 의료 데이터 보호를 위한 DID 신원 인증을, 김선교 건국대 교수는 디지털 배지 운영 경험을 발표했다. 자회사 라온메타는 XR 기반 메타버스 교육 콘텐츠를 선보였으며, KAIST 우운택 교수와 SK텔레콤 채재병 부장은 K-메타버스 미래를 논의했다.
글로벌 연사들도 참여해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미즈마 이츠노부 사이버링크스 CTO는 일본 자격증명 시장 진출 전략을, 케빈 가르시아 코스타리카 공대 교수는 한-코스타리카 간 OpenDID 협력을 강조했다. 구글 벤자민 수석은 제로 트러스트 글로벌 사례를 소개했다. 해커톤 결선에서는 10개 팀이 블록체인·AI 기반 창의적 아이디어를 선보이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라온시큐어는 데이터 주권 확보와 글로벌 디지털 신뢰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순형 대표는 “소버린 AI 시대의 핵심은 데이터 주권”이라며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딥페이크 탐지 기술에 이어 음성 변조 식별이 가능한 ‘딥보이스 탐지’를 공개해 연내 모바일 백신 앱에 적용할 예정이며, 향후 실시간 딥페이크 탐지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라온시큐어, ‘옴니원 배지’로 공공 교육 ‘디지털 새싹’ 수료증 발급
- 라온시큐어, 2025 시큐업&해커톤 개최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기반 가상 키패드 GS인증 1등급 획득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민간분야 확산사업 선정…‘소통 3.0 플랫폼’ 개발 착수
- 라온시큐어, 클라우드 통합계정 관리 서비스 ‘옴니원 억세스’ 출시
- 라온시큐어, PQC 기반 키패드 암호화 특허 취득
- 라온시큐어, 코스타리카 디지털 ID 민간 확산 사업 본격화
- 라온시큐어-파이디지털헬스케어, 양자내성암호로 의료 데이터 보안 강화 협력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디지털 ID 기술 기반 ‘AI 인재’ 인증 체계 구축
- 라온시큐어, 옴니원 플랫폼으로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구축’ 사업 수주
- 신원 증명 재사용 노출 탐지 불가 기업 62%...신원 중심 방어 필요
- 라온시큐어-사이버링크스, 옴니원 디지털아이디 라이선스 계약...日 디지털 자격증명 시장 본격 공략
- 사이버링크, 레노버 AI PC레디 ...인증 획득
- K-DID, 글로벌 디지털 신분증 표준으로 확산...라온시큐어, 라오스 정부 대상 기술 교육 실시
- 전자연구노트 ‘구노’, 위·변조 방지·법적 증거력 확보 기술 선봬
- 메타버스에 ‘냄새’가 켜졌다...200종 향기 실시간 동기화 기술 등장
- 라온시큐어, 스페인 22개 기업 대상 블록체인 ID 기술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