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이하 ADAS)는 도로 위에서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ADAS 결함 시 보안 문제 및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잠재적인 버그와 보안의 취약점을 사전에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매스웍스가 HL클레무브의 ADAS 개발 과정에 자사 소프트웨어 폴리스페이스를 활용해 품질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HL클레무브는 과거 독립적인 툴 기반으로 소스 코드를 정적 분석하고 결과물을 검토해야 했다. 개발자 각자가 워크스테이션에서 툴을 사용했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됐다. 특히, 개발 과정 후기에 오류가 발견되는 경우 개발자들이 코드를 수정하는데 있어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HL클레무브는 양산 차량 모델에 구축될 ADAS 및 자율주행(AD) 소프트웨어 개발에 매스웍스의 폴리스페이스 버그 파인더(Polyspace Bug Finder)를 포함한 폴리스페이스 제품군을 활용했다.

매스웍스와 HL클레무브 팀은 협력하여 개발자의 CI 툴 체인에 폴리스페이스 툴을 통합했고, 정적 코드 분석을 자동화하여 분석 결과를 함께 검토할 수 있도록 했다. 관리자와 엔지니어가 폴리스페이스 액세스(Polyspace Access)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팀과 협업해 작업한 코드를 검토하고, 시뮬링크의 모델과 임베디드 코더(Embedded Coder)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코드의 정적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소스 코드 검증에 걸리는 시간을 최대 80%까지 단축하고 개발 초기 단계에서 문제나 잠재적인 결함을 진단할 수 있었다. 또한 코드 검증 결과가 포함된 리포트를 생성해 제조사(OEM)의 품질 요구사항인 MISRA, CERT 등 자율주행 프로그래밍 개발 표준을 충족할 수 있었다.
이민채 HL클레무브AD SW1 팀장은 “ADAS 개발 과정에 걸쳐 코드 취약성 등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제거해 안전성을 높이고 차별화를 이룰 수 있었다. 앞으로도 ADAS 핵심 기술을 꾸준하게 발전시켜 품질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매스웍스 관계자는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하며 소프트웨어 품질과 보안에 대한 요구사항도 커지고 있다. 매스웍스는 이러한 고객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자동차 디지털 전환이 산업을 혁신하는 방법
- 2023년 업계가 주목할 IoT 분야 10대 성장 기회
-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ADAS 개발 프로세스 실현
- 삼성전자, 암바렐라와 자율주행 차량용 5나노 반도체 생산 협력
- [SPOTLIGHT]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선봉장 ‘모라이’
- NXP, ADAS 위한 첨단 차량용 레이더 원칩 제품군 'SAF85xx'
- [CES 2023] 인공지능 센서로 운전자 안전 예방!
- ADI, ADAS 통한 자동차 안전 강화 위해 씨잉 머신즈와 협력
- 스타트업과 자동차 OEM 기업간 협업, 자율주행 레벨2 기술↑
- 오토바이 운전자 위한 첨단 안전 솔루션, 'HDR 이미지 센서가 핵심'
- 전기차에 들어간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 자율주행 경험 향상
- 편한 자동차를 향한 욕구, 자동차 AI 시장 승승장구
- 매스웍스코리아, AI·전기화·로보틱스·자율주행 분야 기술 동향 제시
- 에이펙스에이아이, AI 기술로 MOIA의 자율주행 승차공유 서비스 기반 제공
- [기고] 첨단 로봇 공학 및 자율주행차를 통한 비즈니스 운영 재정의
- “자율주행 기술 보다 자동화된 안전 원해”
- “노트북처럼 구매하는 자율 전기자동차”
- 에이모, 자율주행 콘퍼런스 ‘AUTO.AI USA 2023’참가
- 시뮬레이션 SW '시뮬링크'로 8개월 만에 전기자동차 개발한 밴더할
- 자동차 산업을 혁신할 10대 유망 기술
- 설계와 검증 워크플로우 간소화하는 '매트랩·시뮬링크 R2023b'
- [Success Story] 자동차 기업의 사이버 보안 위험 대처법
- 2026년 일본 도쿄 시내를 달릴 무인 택시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