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기업 엔비디아(CEO 젠슨 황)가 엔터프라이즈급 생성AI 개발을 위해 서비스나우(ServiceNow)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엔드투엔드(end-to-end)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에 특화된 데이터로 학습하는 맞춤형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을 위해 마련됐다.
이 언어 모델을 바탕으로 서비스나우는 엔비디아의 IT 운영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며,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엔비디아 DGX 슈퍼POD(SuperPOD) AI 슈퍼컴퓨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에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파트너십에는 목적 기반 챗봇을 활용하는 지능형 가상 비서 및 에이전트 개발이 포함된다.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해 특정 IT 작업에 집중하는 목적 기반 챗봇을 통해 광범위한 사용자의 질문과 지원 요청의 신속한 해결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업은 이 챗봇을 커스터마이징해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해 고객의 다양한 요청을 해결하는 중앙 생성형 AI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AI는 보다 정확하게 사례의 우선순위를 정해 시간을 절약하고 결과를 개선할 수 있어 고객 서비스 상담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IT는 모든 산업 분야에 걸친 모든 현대 기업의 신경계와 같다. 기업을 위한 고도로 맞춤화된 생성형 AI를 구축하려는 양사의 협력은 서비스나우 플랫폼을 사용하는 전 세계 IT 전문가들의 역량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CJ 데사이(CJ Desai) 서비스나우 COO는 "생성AI 도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 경쟁 우위 확보, 데이터 및 IP 보호를 위해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AI 기능을 갖춘 공급업체를 찾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서비스나우는 함께 새로운 수준의 자동화를 추진하며 생산성 향상과 사업 영향력 극대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AI 기반, 성능 2배 향상된 GPU '지포스 RTX 4060'
- 서비스나우, AI 기반으로 재무·공급망 워크플로우 자동화하는 '나우 플랫폼'
- “서비스나우 ‘유타 릴리스’로 간소화된 경험·초자동화·민첩성으로 기업 혁신 돕겠다”
-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기반 산업용 메타버스·AI 시장 확대
- 생성AI 활용 시작한 소기업과 소상공인에 필요한 것
- [컴퓨텍스 2023] 전자 제조기업, 첨단 디지털 공장화에 생성AI 적용
- [컴퓨텍스 2023] 엔비디아, 차세대 LLM 개발 최적화된 ‘DGX GH200 AI 슈퍼컴퓨터’ 발표
- 믿을 수 있는 생태계·플랫폼 골라주는 큐레이션 서비스 등장
- 생성AI로 기업의 워크플로우 간소화·최적화하는 '버추얼 에이전트용 나우 어시스트'
- 서비스나우, '포춘500대 기업'에 선정
- 서비스나우, AI 기반 자동화 전략 추진 위해 코그니전트와 파트너십 체결
- AI 경험 판도 바꾸는 음성 챗봇 등장
- 서비스나우, 생성AI 기반 케이스 요약·텍스트 투 코드 기능 발표
- 생성AI와 3D 시각화 가속하는 '엔비디아 OVX 서버'
- 엔비디아, 허깅페이스에 생성AI 슈퍼컴퓨팅 플랫폼 제공
- 서비스나우, 박혜경 한국 신임 대표 선임
- 엔비디아-서울대병원, 헬스케어 최신 AI 전략 제시 ‘HCLS 서밋 코리아 2023’ 개최
- 엔비디아 전문가가 직접 설명하는 LLM 학습과 개발 방법
- 포괄적 자동화로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나우 플랫폼 밴쿠버 릴리스'
- 엔비디아, 한국표준협회·한컴아카데미와 AI 인재 양성 나선다
- “AI 코딩의 미래, 인간 우선 접근 방식에 달려”
- AI 슈퍼컴퓨터 시장, 2028년까지 연평균 22.0%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