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빅데이터 플랫폼(Data Lakehouse) 전문기업 미소정보기술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수행하는 ‘초소형 위성의 운용 지원을 위한 지상 SW플랫폼 기술개발지원’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초소형 위성에 대응하는 송·수신 프로토콜 범용 인터페이스 개발과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위성 상태, 환경 모니터링, 고장탐지기술, 통합관제, AI 기반 위성 영상 데이터 분석등 우주산업에 민간기업 진출은 물론, 초소형 위성을 제작하는 대학 등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과제는 주관기관 미소정보기술과 누리호 발사 등 실제 위성 소프트웨어를 경험해 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아리랑1호부터 위성관제 경험이 많은 솔탑, 큐브위성 또는 큐브샛(Cubesat) 위성제작 경험이 있는 조선대학교가 협력해 진행한다.
이 과제는 민간 기업이나 대학, 연구자 등이 위성 데이터를 가공·활용 시 사용자에 따라 데이터 처리 수준 편차 등 어려움이 있어 이를 클라우드 기반 AI와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기지국 서비스에 최적화된 환경구축, 위성 데이터 처리기술 확보 등 위성정보 활용을 통해 미래 초소형 위성 중심의 부가가치를 높여 민간 우주산업 육성과 좋은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기존 글로벌 우주산업 기업들이 보유한 중·대형 위성의 운용, 관제 서비스가 아닌 초소형 위성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민간기업의 접근이 용이하며 이를 통해 초소형 위성 우주산업 진출 활성화와 부가가치 서비스 확대등 미래 우주기술 교육·연구등 우주산업 인력양성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소정보기술 안동욱 대표이사는 “클라우드와 AI를 기반으로 기지국 운용과 관제, 위성 데이터 분석등은 빅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이 잘 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위성의 다양한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민간기업의 사업활성화를 적극 지원하며 부가가치를 높여 대한민국이 우주깅국 반열에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미소정보기술-건국대병원,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활성화 위해 손 잡는다
- 미소정보기술-딥노이드, 의료AI 및 빅데이터 융합 정밀의료 맞손
- 미소정보기술, 인천세종병원에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빅' 구축
- AI로 비정형 의료 데이터 분석 환경 개선한다
- 전남대병원, 미소정보기술의 의료 통합 데이터 플랫폼 도입
- 미소정보기술, 통합 의료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 나선다
- 모니터링 핵심 기능, 정확한 ‘경고’
- 유학생에 인기있는 "재정 지원 많은 미국 명문 대학"
- 퀵텔, 비지상망 위성 통신 모듈 인증 획득
- 디지털트윈·AI 기반 수질관리 시스템 "공공하수처리 효율 높여"
- 미소정보기술, 과기정통부 ‘우수기업연구소’ 2연속 지정
- 보안성과 고객 만족도 높이고 업무 부담 낮추는 AICC
- 의료·산업 초거대AI 효율 높이는 '非라벨링 데이터 솔루션'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미소정보기술, 본사 과천으로 이전 및 확장
- 인세라솔루션, 우주광통신 기술 개발 3억 원 투자 유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