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HR은 프로그램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투자 수익(ROI)을 최고 경영진에게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맥클린 & 컴퍼니(McLean & Company)는 HR 리더가 재정적으로나 재정적 결과를 넘어서 프로그램의 가치를 입증할 수 있도록 HR 프로그램의 ROI 측정 가이드를 제시했다.
이 가이드에 따르면, 조직의 핵심 구성원 중 28%만이 운영 및 인력 비용에 대해 HR이 제공하는 가치에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72%는 그다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23년 HR 동향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5%가 HR 부서가 인건비를 통제하고 인건비 지출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어 높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프로그램 평가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과 데이터 활용 능력이 필요한 자원 집약적 프로세스인데, 현재 많은 HR팀이 이를 관리할 준비가 부족한 상태다. 맥클린 & 컴퍼니에 따르면, HR 프로그램의 가치 측정은 HR 투자를 조직의 목표와 연결하여 HR이 조직의 수익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보여주고, 데이터에 기반한 지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맥클린 & 컴퍼니는 고위 경영진과 이사회 같은 주요 인사들의 HR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지원을 높이기 위해 HR이 이들을 참여시키고, 기대치를 관리하며, 평가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지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HR이 조직의 성공에 기여하고 수익성을 넘어 조직 목표를 추진하기 위해서 맥클린 & 컴퍼니는 HR 리더들에게 3단계 계획을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HR 리더가 평가해야 할 HR 프로그램과 관련 결과, 측정 기준, 일정을 안내한다.
2단계에서는 HR 프로그램의 ROI 측정과 조직의 더 큰 맥락 내에서의 결과 해석에 우선순위를 둔다.
마지막 3단계는 더 넓은 VOI(Value on investment) 프로그램 내에서 관련자들과 의사소통하고 ROI 결과를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맥클린 & 컴퍼니는 HR 리더에게 프로그램 비용을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비용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않으면 프로그램 결과를 측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ROI는 자립적이지 않으며 변화하는 조직의 요구와 상황에 따라 지속적인 평가와 반복이 필요하다. 따라서 맥클린 & 컴퍼니는, HR 프로그램에 대한 의도적이고 지속적인 조정을 통해 프로그램이 직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인 ROI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관련기사
- [기고] AI 활용한 메타데이터 및 비즈니스 성과 개선법
- [SPOTLIGHT] “단일 플랫폼으로 모든 업무 통합·연동해 소통 강화할 것”
- 의료서비스 기업 80%, “AI는 IT 지출 1순위”
- AI와 자동화 접목하는 HR 서비스 시장, 2028년 ‘1085억 달러’ 전망
- "고객은 막연한 최신 기술보다 실용 기술에 관심 높아"
- 생성AI 활용 효과 높은 산업군
- 서류로 알 수 없는 직무 능력과 조직적합성, 어떻게 평가할까?
- 국내 경영진, AI·자동화 도입으로 향후 3년 간 인력의 40% 재교육 필요
- “IT 경영진 1/3만이 조직 프로세스 자동화에 자신”
- 요즘 시대에 필요한 HR 기능 ‘단 9%만 충족’
- 가장 정확한 고객 파악법 '제품 내 설문조사 솔루션'
- HR 업무 자동화로 가속 성장하는 '인적 자본 관리' 2031년 513억 달러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