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24년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 예산 1039억 원이 지난 12월 21일 국회에서 최종 확정되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광역자치단체가 자율적인 기획을 통해 예산을 신청하는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2024년도 전국 78개, 지자체의 99개 과제를 통해 다양한 지역별 스마트 서비스 모델을 실증하고 전국에 확산될 예정이다.

그동안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저출산‧고령화, 지역 소득 격차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이 다양한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사회 복지 환경 개선, 선진 생활환경 구현,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했다.
노후된 마을환경, 복지관과 도서관, 돌봄센터를 포함해 지역의 생활 기초 인프라 시설에 디지털을 접목했다. 또한 AI와 드론 등 첨단 기술을 농수축산업에 활용했으며, 스마트경로당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행됐다.
특히 스마트빌리지 사업의 주요성과 중 하나인 스마트경로당은 지역의 여러 경로당과 복지관을 양방향 온라인으로 실시간 연결해 다양한 여가‧복지 프로그램을 지역 어르신들께 제공한다. 과기정통부는 섬‧벽지 어르신들의 건강상담 및 의료혜택 지원을 위해 스마트경로당 인프라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고 전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2024년 천억 원 규모로 확대된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할 것”이라며, “모든 국민이 전국 어디에서나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리는 세상을 만드는 데 과기정통부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우리나라를 지킬 ‘12대 국가전략기술’
- 다쏘시스템-영월군, '버추얼 트윈 기반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 맞손
- 인증으로 더 안전해지는 스마트시티
- 이스트소프트, 말벗하고 건강 돌봐주는 시니어 전용 AI 휴먼 개발 착수
- 올해 기초연구 사업에 2조 1179억원 투자된다
- 자동화·민첩성으로 질주하는 ‘통신 AI’, 연평균 성장율 28.2%
- 정부가 5조 8577억원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 [CES 2024] 앱 없이 핸즈프리로 작동하는 포켓 크기 비행 카메라
- [CES 2024] 과기정통부, 디지털 청년 인재 포럼 개최
- 과기정통부, '물리보안'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 혁신에 5770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초격차 확보에 1324억원 투자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산업부,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에 523억 원 투자, 작년 대비 4배 증액
- 과기정통부, 디지털 창업 지원 ‘2024 K-글로벌 프로젝트’ 시행
- 취미 워크숍 B2B서비스 ‘솜씨당Biz’
- 메이사, 국토부 수주지원단 일원으로 UAE 방문
- 파블로항공-선진, 군집 비행 기술 고도화 맞손
- 서울시, 약자동행 기업 지원 18억 원 투입
- 나노팹 온라인 원스톱 서비스 ‘모아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