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24년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 예산 1039억 원이 지난 12월 21일 국회에서 최종 확정되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광역자치단체가 자율적인 기획을 통해 예산을 신청하는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2024년도 전국 78개, 지자체의 99개 과제를 통해 다양한 지역별 스마트 서비스 모델을 실증하고 전국에 확산될 예정이다.

그동안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저출산‧고령화, 지역 소득 격차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이 다양한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사회 복지 환경 개선, 선진 생활환경 구현,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과제들을 수행했다.

노후된 마을환경, 복지관과 도서관, 돌봄센터를 포함해 지역의 생활 기초 인프라 시설에 디지털을 접목했다. 또한 AI와 드론 등 첨단 기술을 농수축산업에 활용했으며, 스마트경로당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행됐다.

특히 스마트빌리지 사업의 주요성과 중 하나인 스마트경로당은 지역의 여러 경로당과 복지관을 양방향 온라인으로 실시간 연결해 다양한 여가‧복지 프로그램을 지역 어르신들께 제공한다. 과기정통부는 섬‧벽지 어르신들의 건강상담 및 의료혜택 지원을 위해 스마트경로당 인프라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고 전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2024년 천억 원 규모로 확대된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할 것”이라며, “모든 국민이 전국 어디에서나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리는 세상을 만드는 데 과기정통부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