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관별로 산재된 국가 나노팹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한곳에 모아, 팹 이용자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팹 서비스 통합정보시스템 모아팹(MoaFab)’을 25일 발표했다.

모아팹은 지난 1월 8일부터 두 달여 간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3개 기관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했다. 시범운영 동안 사용자 편의성 향상, 장비 관리 지원기능 추가, 모아팹과 나노팹 기관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오류 최소화 등을 추진해 시스템을 안정화했다.
시범서비스 기간 중 모아팹 서비스 신청 건수는 총 3377건이며, 1월 169건, 2월 767건, 3월(3.22. 10시 기준)은 2441건으로 서비스 이용이 점차 확대되었다. 24년 하반기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IS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로 서비스 지원기관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 전국의 나노팹 서비스는 모아팹으로 통합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것”이라며, “모아팹 서비스 제공을 기점으로 국가 나노·반도체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마이크로칩, 차량용 무선 듀얼-패드 충전 디자인 출시
- 산업 자동화 기업의 ‘미래의 공장’ 구축
- 2024년 2월 ICT 수출입 ‘반도체∙디스플레이 증가, 휴대폰 감소’
- KISA-과기정통부-부산시-부산테크노파크,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 쟁점 해결 본격 돌입
- 인텔,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 ‘팹 9(Fab 9)’ 오픈
- 공공기관 데이터 통합한 ‘디지털집현전’
- 과기정통부,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 예산 1039억원 확정
- 과기정통부,'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기술' 적극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콩가텍, 서버 캐리어 보드 및 온 모듈 신제품 출시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고출력 GaN 소자 국산화 성공...K-방산, 6G·위성 산업 자립화 기대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ETRI, 감성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모습 예측
- ETRI, 광통신용 양자점 레이저 대량생산 기술 개발
- 신축성·무선통신 걱정없는 ‘전자 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