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25일 03시 00분, 태양활동 극대기에 따른 지구 자기장 교란 상황 발생*에 따라 우주전파재난 ‘관심’ 위기경보를 발령하였다고 밝혔다.
우주전파재난 ‘관심’ 단계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발령하는 위기경보 관심-주의-경계-심각 중 첫 번째 단계이다. 위기징후가 나타나고 있으나 수준이 낮아 위기발전 가능성이 적은 상태이다.
과기정통부와 소속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에서는 태양에 의한 지구 자기장 교란 상황에 대응하여 우주전파재난 매뉴얼에 따른 비상체계를 가동하면서, 항공・항법(국토교통부)・전력(산업통상자원부)・해양(해양수산부) 등 분야에서 발생 가능한 피해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약 11년 주기로 태양 활동이 왕성해지는 ‘태양활동 극대기 도래(‘24~‘27)’에 따라 태양흑점 폭발 및 태양 방출물질(X선, 고에너지입자, 코로나물질 등)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 태양활동 극대기 기간 주요 피해사례로 미군 공군기지 단파통신 두절, 남아공 대규모 정전 등이 있었다.
3월 25일 12시 기준 피해상황은 없으나, 보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우주전파환경 변화 시 북극항로 항공기 운항 방사능 노출, GPS 수신 장애, 위성 궤도 이탈, 단파통신・방송 장애 등 발생 가능성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위기경보 기간동안 우주전파환경 변화가 국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대비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고, 유관기관 공조를 통해 피해 예방・대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인세라솔루션, 우주광통신 기술 개발 3억 원 투자 유치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우리 軍 '우주·사이버보안' 무기체계 개발 강화
- HPE 스페이스본 컴퓨터-2, 업그레이드하고 ‘다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 '모니터링∙보안' 강화하고 TCO 줄이는 ‘GPS 추적 솔루션’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한국 정찰위성 발사 지원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액셀러레이터 지원받는 '디지털 혁신기업' 모집중
- MEV로 연장된 ‘위성 수명’...통신 안정성 강화
- 국제 표준 주도하는 국산 'AI 기반 전자파 예측' 기술
- 국토부,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