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리용으로 스마트 밴드와 워치 반지 등의 웨어러블 기기가 연간 5억 대 이상 판매되고 있지만, 걸음수와 심박수 등 기본적인 운동량 측정 정확도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이 없어 객관적인 성능과 정확도의 비교 평가가 불가능했다.
이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주요 업체들과 함께 걸음수 측정 정확도와 심박수 측정 정확도를 시험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 개발에 나섰고 2019년부터 연구를 시작, 6년 만에 국제표준을 제정했다.

지난달에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성능 시험’에 관한 국제표준 2건이 최종 제정된 이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걸음수 측정 정확도 시험 방법’과 ‘심박수 측정 정확도 시험 방법’이다. 이 표준에는 걸음수 측정과 심박수 측정 기능이 제공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측정 정확도를 시험하는 방법과 절차가 담겨있다.
이 국제표준이 제정됨에 따라 ETRI는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의 성능 기준을 정해 요구할 수 있고, 제조사는 국제표준 시험법에 따라 시험한 성능검증 결과를 공식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글로벌 웨어러블 산업 확산과 더불어 관련 시험평가 및 인증 시장도 함께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표준 제정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 향상사업’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개발사업’의 표준 개발 지원으로 이뤄진 결과다.
한편 ETRI는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질환 진단 응용, 인공지능 기술 결합 웨어러블 응용, 웨어러블 뇌파 응용 등과 같은 새로운 국제표준화 이슈를 발굴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신규 작업반(ahG7) 구성을 제안한 상태다. ETRI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기기 수면 모니터링 및 진단 응용 등 새로운 건강 관리 분야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해 국내 산학연병 전문가들과 계속 협력할 예정이다.
광운대학교 박재영 교수는 “웨어러블 기기의 가장 큰 응용 분야는 건강 관리 분야이므로 웨어러블 전기 기기 및 기술(TC 124)을 중심으로 헬스케어 웨어러블 국제 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국제표준 개발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울대, 태양과 체온으로 전력생산하는 '전자피부' 개발, 웨어러블 기기 혁신 청신호
- IoT, 2026년 700억개 연결…"장치·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주의
- 기업 성장에 필요한 9대 요소
- [기고]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는 ‘데이터 제품’
- 생성AI로 위협받은 직업은 '화이트 컬러'
- 드디어 기업용 '양자 플랫폼' 등장!
- [기고]“80% 이상의 오픈 소스 취약점, 해결책은”
- 직장 내 AI 도입 급증, 86% 근로자 AI 애플리케이션 활용
- [기고] AI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
- “가장 심각한 고객 불만 5가지”
- 강력한 인간을 향한 ‘인간강화기술’, 관심만큼 큰 폭 성장
- ETRI-KAIST, 양자기술 분야 인재 양성 맞손
- 디지털 헬스케어, ‘일상의 AI’ 상시 서비스로 확대 중
- [MWC 2024] ETRI, 5G 및 실시간 영상 최신 기술 공개
- 셀바스헬스케어, 국제 규격 인증 획득 “글로벌 시장 매출 확대할 것”
- ADI 심폐 관리 시스템 ‘센시넬’, FDA 인증 획득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사 발표
- ETRI, 전방위 촉각 센서 탑재된 로봇 손가락 개발
- AI로 구현하는 메타데이터·미디어 서비스
- LED 평면에서 구현하는 '촉각 디스플레이'
- 2023년 국내 웨어러블 시장 ‘877만 대 출하’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AI 국제표준’ 오픈 워크숍...산학연 AI 전문가 집결
- ETRI, 감성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모습 예측
- 신축성·무선통신 걱정없는 ‘전자 피부’
- “신경기술·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앱 개발” 혁신하는 “저전력 헤드밴드” 뇌파 솔루션
- 환자 맞춤형 해부 모델 제작 3D 프린터
- 국립전파연구원, ITU 전파통신부문 모두 의장단 석권
- ETRI, 충남TP에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 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