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리용으로 스마트 밴드와 워치 반지 등의 웨어러블 기기가 연간 5억 대 이상 판매되고 있지만, 걸음수와 심박수 등 기본적인 운동량 측정 정확도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이 없어 객관적인 성능과 정확도의 비교 평가가 불가능했다.

이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주요 업체들과 함께 걸음수 측정 정확도와 심박수 측정 정확도를 시험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 개발에 나섰고 2019년부터 연구를 시작, 6년 만에 국제표준을 제정했다.

국제표준 걸음수 측정 시험 방법 도면
국제표준 걸음수 측정 시험 방법 도면

지난달에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성능 시험’에 관한 국제표준 2건이 최종 제정된 이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걸음수 측정 정확도 시험 방법’과 ‘심박수 측정 정확도 시험 방법’이다. 이 표준에는 걸음수 측정과 심박수 측정 기능이 제공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측정 정확도를 시험하는 방법과 절차가 담겨있다.

이 국제표준이 제정됨에 따라 ETRI는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의 성능 기준을 정해 요구할 수 있고, 제조사는 국제표준 시험법에 따라 시험한 성능검증 결과를 공식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글로벌 웨어러블 산업 확산과 더불어 관련 시험평가 및 인증 시장도 함께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표준 제정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 향상사업’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개발사업’의 표준 개발 지원으로 이뤄진 결과다.

한편 ETRI는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질환 진단 응용, 인공지능 기술 결합 웨어러블 응용, 웨어러블 뇌파 응용 등과 같은 새로운 국제표준화 이슈를 발굴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신규 작업반(ahG7) 구성을 제안한 상태다. ETRI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기기 수면 모니터링 및 진단 응용 등 새로운 건강 관리 분야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해 국내 산학연병 전문가들과 계속 협력할 예정이다.

광운대학교 박재영 교수는 “웨어러블 기기의 가장 큰 응용 분야는 건강 관리 분야이므로 웨어러블 전기 기기 및 기술(TC 124)을 중심으로 헬스케어 웨어러블 국제 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국제표준 개발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