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방승찬, 이하 ‘ETRI’)은 공기압을 기반으로 인가되는 방향과 상관없이 매우 정밀하게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촉각 센서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술은 사람 손가락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로봇 손가락이다. 전방위 압력감지가 가능한 에어챔버형 유연 촉각 센서 기술과 고분해능 신호처리 회로 기술, 물체의 강성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지능형 알고리듬 기술이 탑재됐다.
기존 3D 형상의 로봇 손가락에 적용되는 압력센서의 물체를 잡는 방향에 따라 왜곡된 신호를 보정했다. 따라서 경직되고 딱딱한 물체부터 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물체까지 모두 유연하게 다룰 수 있다.
특히, 3차원 손가락 형태에서도 여러 방향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능력과 사람의 손처럼 자연스럽게 물체를 다룰 수 있는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압력 변화에 따라 LED 색상이 바뀌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김혜진 ETRI 지능형부품센서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이 센서 기술이 로봇과 인간 간 상호 작용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로봇이 우리 사회와 산업에 더욱 깊숙이 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라고 말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AI 기반의 자재관리용 ‘자율이동로봇’
- 제조·물류 자동화하는 AI 기반 ‘아이작 로보틱스 플랫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사 발표
- 글로벌 AI·로보틱스 콘퍼런스와 전시회 '엔비디아 GTC 2024' 개최
- [GTC 2024] 엔비디아, 생성AI·가속 컴퓨팅·로보틱스 혁신 공개
- ETRI,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국제표준 제정
- 2028년, ‘모바일 로봇’이 일상이 된다
- 30kg도 거뜬한 협동로봇
- 복잡한 공간도 안정적으로 배달하는 ‘딜리버리 로봇’
- 고출력 GaN 소자 국산화 성공...K-방산, 6G·위성 산업 자립화 기대
-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뛰어난 손재주로 다양한 산업에 활용
- 화생방∙테러 상황에 투입되는 ‘사족 보행 로봇’
- AI로 구현하는 메타데이터·미디어 서비스
- LED 평면에서 구현하는 '촉각 디스플레이'
- 인간 대신 위험한 작업 수행하는 ‘상업용 로봇’ 보편화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ETRI, 감성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모습 예측
- ETRI, 광통신용 양자점 레이저 대량생산 기술 개발
- 세계에서 인정받은 ETRI ‘AI 정책지능’
- ETRI, 탄소중립 R&D·투명한 지배구조 가이드 'ESG 보고서' 발간
- ETRI, 충남TP에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 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