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보안전문기업 및 학생 화이트해커와 함께 본부 및 소속‧산하기관(65개)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사이버 모의 침투훈련을 진행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2021년부터 실시한 사이버 모의침투 훈련은 실제 사이버 공격과 유사한 시나리오로 공격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발견된 취약점을 확인 및 조치함으로써 각급기관의 위기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강화하는 훈련이다.

특히 2024년에는 기존에 기업의 화이트해커만 활용하던 공격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화이트해커(15명)를 모집해 기업 화이트해커와 연합팀을 구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3월 진행한 학생 화이트해커 공개 모집에는 52개 대학, 24개 정보보안 동아리에서 138명이 지원하여 9: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이중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된 13개 대학 15명의 학생 화이트해커는 국제 해킹대회(Cyber Apocalypse, Zer0pts 등) 및 국내 해킹대회(사이버 가디언즈 리그, 핵테온 등)에서 수상한 정보보안 우수인력이 다수 포함됐다.
선발된 학생 화이트해커는 훈련 참여를 통해 기업 전문가의 노하우를 배우고 침투 방법 분석 및 기획, 실제 해킹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운다.
화이트해커들은 “이번 활동으로 공공기관의 보안업무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모의해킹을 시도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은 “과기정통부는 소속 ‧ 산하기관의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와 축적된 과학기술 보호를 위해 체계적인 사이버 위기대응 훈련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농어촌 5G 통신 공동이용 상용화 완료
- KISA, 상반기 사이버 위기 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공개 모집
- 의료기관 원격 시스템 공격하는 랜섬웨어 증가...위험해지는 환자들
- “급증하는 생성AI·랜섬웨어 공격 대비 최선책은 데이터 백업 및 관리 강화”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쟁점 해결 과제 구체화
- 아세안에 심는 한국의 보안 DNA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국정원, 지역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안 설명회 개최
- ‘신원정보 탈취’ 2023년 최고 보안위협, 생성AI 활용 공격 선제 대비해야
- 비트코인 상장 겨냥 1025Tbps 급 대규모 DDoS 공격 감행
- 2024년을 노리는 5대 사이버 공격
-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 공고
- KISA, ‘화이트햇 투게더’ 시즌3 참가자 모집
- 국정원, NATO 사이버 방어 훈련 ‘락드쉴즈 2024’ 참가
- IT여성기업인협회-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SW산업 활성화 맞손
- 기업 사이버 공격 및 스미싱 53만 건, 2년동안 ‘2.5배 증가’
- 친환경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실현의 열쇠는 AI”
- KISA, 영세·중소기업 대상 암호모듈검증 컨설팅 무료 지원
- 국정원, ‘2024 국가정보 보호백서’ 발간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액셀러레이터 지원받는 '디지털 혁신기업' 모집중
- 中 사이버 위협 집단들, 남중국해·아프리카 등 국가 기관 해킹
- 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확인제도 첫 ‘연구개발’ 선정
- 과기정통부, 제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개최
- KISA, 사이버 위기 대응 모의 훈련발표...중소·영세 기업 대응력 개선 필요
- 과기정통부, 공공기관 '해킹 대응' 불시 검문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의 달 기념 풍성한 보안 행사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