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이 지난 5월 중순부터 2주간 국내기업 등을 대상으로 2024년 상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결과 강평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강평회에서는 이번 모의훈련 실시·분석 결과 발표, 우수기업 시상 및 사례 등이 공유됐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연 2회에 걸쳐 기업의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과 대응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을 진행한다. 이번 훈련에는 556개 기업 및 23만 4천여 명의 임직원이 참여했다.
이번 모의훈련은 ▲해킹메일 대응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 및 대응 점검 ▲기업 누리집 대상 모의침투 ▲기업 보안장비 대상 취약점 탐지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해킹메일 대응 훈련
해킹메일 훈련은 501개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위장한 해킹메일을 발송해악성코드 감염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훈련 결과, 임직원 20명 중 1명 정도는 해킹메일 내 첨부파일을 실행해 PC가 악성코드에 감염(2024년 상반기 평균 열람률 37.9%, 감염률 4.7%)되었다.
이번 해킹메일 대응은 최근 3개년 동안 실시한 훈련 중 감염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열람률/감염률 모두 재참여 기업(37.2%/4.7%)이 신규 참여기업(40.3%/4.8%)에 비해 낮아, 반복적인 모의훈련이 임직원의 보안 인식을 제고하고 대응능력을 향상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DoS공격 및 대응 점검
DDoS공격 및 대응 훈련은 98개 기업 누리집(홈페이지)을 대상으로 실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하고 탐지시간과 대응시간을 측정해 기업의 대응능력을 점검했으며, 평균 탐지시간은 21분, 대응시간은 24분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평균 탐지, 대응 시간이 대기업·중견기업(탐지 21분, 대응 23분) 대비 더 소요되어(탐지 26분, 대응 26분),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의 침해위협에 대한 중소·영세 기업의 대응이 개선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기업 누리집 대상 모의 침투
모의침투 훈련은 화이트해커가 45개 기업 누리집을 대상으로 주요 해킹 사례에서 사용되는 20여 가지의 다양한 공격기법을 이용해 정해진 시나리오 없이 실제 해킹처럼 수행했다.
훈련 결과, 38개 누리집에서 총 124개(기업당 평균 3.3개)의 취약점이 발견됐으며, 취약점이 발견된 기업은 보완조치 안내에 따라 7월 중에 해당 취약점 제거 등 보안을 강화할 예정이다.

기업 보안 장비 대상 취약점 탐지
한편 1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발견된 위험도 및 파급도가 높은 취약점에 대해, 기업에서 보유 중인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 등 보안 장비의 해당 취약점의 공격 패턴 탐지 여부를 점검했다.
참여기업 중 20개 기업에서 취약점 탐지가 미흡함을 확인했으며, 해당 기업들이 조치할 수 있도록, 주요 취약점에 대한 설명과 보안장비 설정, 패턴 업데이트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KISA는 기업에서 원하는 기간에 자율적으로 훈련하는 ‘사이버 시큐리티 훈련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훈련에 참여하지 못한 많은 중소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홍보할 예정이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최근 임직원 대상 스피어 피싱(위장 이메일 공격), 관리가 소홀한 누리집 정보유출, 랜섬웨어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라며 “정기 훈련의 질적 수준을 지속 강화하는 한편, 상시 훈련 플랫폼 활용 등을 통한 반복 훈련으로 기업들이 정보보안 수칙을 잘 준수하고,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국정원, '북한 사이버 위협 동향 및 공격사례 분석 설명회' 개최
- 과기정통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윈도우·안드로이드·맥OS 겨냥 및 SSLoad 악성코드 동향 파악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해외 국가·기업 및 해킹 동향 발표
- 과기정통부-KISA, 글로벌 보안 시장 공략하는 'K-보안 연합체' 신설
- 증가하는 디지털 위협, ‘클라우드 보안 강화’로 대응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해킹·랜섬웨어·윈도우 취약점 등 해외 보안 이슈 13건 발표
- 이스트시큐리티, 제로트러스트 기반 '통합보안 모델 개발 시범 사업 ' 수주
- KISA, 해킹 사고 원클릭으로 확인하는 ‘해킹진단도구’ 배포
- KISA, 영세·중소기업 대상 암호모듈검증 컨설팅 무료 지원
- 과기정통부, 소속‧산하기관 대상 사이버 모의침투 훈련 실시
- KISA, 상반기 사이버 위기 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공개 모집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KISA, ‘AI 보안관제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정 개설
- 과기정통부, 공공기관 '해킹 대응' 불시 검문
- KISA, ‘암호모듈검증’ 무료 전문 교육과정 실시
- KISA-금융감독원, 가상자산 악용 사이버범죄 공동대응
- KISA, ‘제13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 개최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의 달 기념 풍성한 보안 행사 진행
- KISA, 제11회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경진대회 개최
- KISA-항우연, 우주항공 보안 강화 맞손
- 컴트루테크놀로지, ‘AI 기반 PC 개인정보보호 솔루션’ 조달청 등록
- KISA, 사이버 복원력 시험·평가 및 핵심 기술 개발 연구과제 수주
- KISA-과기정통부,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회의 개최
- KISA-ICANN, 2024년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개최
- KISA-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보안 강화 협력
- KISA, 구글·MS·네이버와 ‘인터넷 브라우저’ 보안 강화 협력
- KISA, CHAMP 최우수훈련기관·자율공동훈련센터 선정
- KISA, 19개국 CERT 대상 사이버보안 교육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