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이하 ‘탄녹위’)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 이하 ‘디플정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를 29일 개최했다.

국가녹색기술연구소(소장 이상협),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가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지난해 11월 탄녹위 전체회의에서 발표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의 후속조치로, 지난 2월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탄녹위 주관)에서 논의된 협력방안을 기반으로 추진되었다.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해법으로써의 AI를 주제로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및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센터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그 가능성과 한계, 분야별 적용사례 등에 대하여 산·학·연 각 분야에서 AI 연구 및 활용을 주도하고 있는 강연자들의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발표자들은 AI를 통한 탄소중립 가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간 추진되어 온 AI·탄소중립 기술개발 실증에 대한 집중 투자, AI 표준 마련 및 AI서비스-스타트업-산업 간 생태계 구축을 강조하였다.

또한, 통신, 정유, 제조 등에서 AI를 활용한 탄소감축 노력이 소개되었고, 화재예측, 스마트교차로 등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 시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AI 도입 컨설팅 POC 추진사항 등도 논의됐다.

특히, AI 활용 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저전력·고효율·실용적 생성AI 서비스 전용 반도체 기술개발 및 내재화가 필요하며, 신뢰 가능한 AI 리스크 관리 플랫폼 등 구축의 필요성이 언급됐다.

한편, 수출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EU의 그린딜(Green Deal) 등 규제에 대비한 준비가 시급하며, DPP(Digital Product Passport) 등 데이터에 기반한 규제에 정부와 민간이 함께 협력하여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나온 주요 의견을 기반으로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 산업적 확산방안, 규제 대응을 위해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탄녹위 주관) 및 민관협의회(과기정통부 주관)에서 지속 논의하고 후속 방안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은 “구글의 경우 머신러닝에만 전체 사용에너지의 15%를 쓸 만큼 AI 활용에 투입되는 막대한 전기량은 또 다른 도전이지만, 우리나라는 AI를 통해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고, 또한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