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18일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농어촌 5세대(5G) 공동이용 계획’의 마지막 3단계 상용화를 개시해 5세대 이동통신의 전국망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농어촌 5G 공동이용이란 통신 3사가 농어촌 지역을 나누어 각각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신 3사가 공동으로 이용해, 자사가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타사의 통신망으로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지난 2021년 4월 과기정통부와 통신 3사는 농어촌 지역에도 5G 서비스를 조속히 제공하기 위해 ‘농어촌 5세대(5G) 공동이용 계획’을 발표하고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추진해 왔다.
이번 3단계 상용화는 52개 군에 소재한 432개 읍·면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2024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국을 대상으로 한 신속한 5G 서비스 확대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과기정통부와 통신 3사 간 협의를 통해 2개월 앞당겨 완료했다.
기존에 통신 3사가 각각 단독으로 망을 구축한 85개 시 행정동 및 일부 읍면 지역에 더해 모든 농어촌 지역을 포함한 5G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농어촌 5G 공동이용 상용화 대상 지역에 대해 통신 3사가 망 안정성, 품질 수준 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 및 지원할 예정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통신 3사와 긴밀하게 협의해 당초 계획보다 빠르게 농어촌 지역으로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확대하였으며, 통신 3사는 향후 지속적인 품질보강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정부의 품질평가 강화와 함께 이용자가 품질평가에 직접 참여하는 이용자 상시평가도 활성화해 지속적인 5G 품질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사들을 독려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농촌진흥청, 슈퍼컴퓨터 역량 강화 교육 실시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쟁점 해결 과제 구체화
- 골프장 운영부터 농업까지 혁신하는 '드론 상용화'
- 전문 생성AI 도구로 ‘클라우드 커넥티드 농업’ 구현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첨단 기술 접목으로 똑똑해진 ‘스마트팜’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 쟁점 해결 본격 돌입
- 과기정통부, 도로·지하차도 침수 사고 예방 TF 출범
- 과기정통부, 소속‧산하기관 대상 사이버 모의침투 훈련 실시
-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 공고
- 친환경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실현의 열쇠는 AI”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액셀러레이터 지원받는 '디지털 혁신기업' 모집중
- 과기정통부, 비대면 알뜰폰 부정개통에 소매 걷었다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공공·민간분야 사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