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플랫폼 기업 라쿠텐 심포니는 무인 사업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AI 기반 공간 운영 자동화 IoT 플랫폼 ‘라쿠텐 네오(Rakuten NEO)’를 출시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라쿠텐 네오는 고도화된 머신러닝 알고리즘과 센서기술을 탑재한 최첨단 AI + IoT 기반 솔루션이다. 완전 무인 사업장은 물론 기존 유인 사업장의 무인화를 지원하며, 공간 운영을 효율화하고 운영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현장 출입 관리, 조명, 냉난방/온습도 및 기타 운영 시스템 제어, 물품 재고 점검 등을 원격으로 지원한다. 또한 부정출입, 누수, 기타 긴급상황 등을 빠르게 감지하고 대응한다. 이를 통해 공간 내에 직원 상주 없이 최소 인원으로 여러 공간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SaaS 형태로 제공된다.
라쿠텐네오는 2020년 한국 스타트업 알리콘(Alicorn)에 의해 출시된 ‘ASA(Alicorn Space AI)’ 서비스와의 협력해 탄생한 서비스다. 알리콘은 ASA 서비스로 600km 이상 떨어진 12개의 공용 오피스를 단 1명이 운영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GS, 신한투자증권 등 10여개 대규모 기업들이 도입해 최대 80%의 노동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라쿠텐 심포니는 라쿠텐 네오를 출시해 일본을 시작으로 무인 사업장을 위한 AI 기반 IoT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무인 창고 업체인 마린박스(Marine Box)가 라쿠텐 네오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마린박스는 라쿠텐 네오로 원활한 출입 관리, 고객 보관 물품을 위한 온습도 원격 제어, 누수/화재 실시간 알림 등의 기능을 활용해 관리 인원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창고 서비스 품질 향상을 높이고 있다.
라쿠텐 네오는 무인 창고 서비스뿐만 아니라 오피스, 쇼룸, 숙박업소, 골프연습장, 헬스클럽, 코인 빨래방과 같은 무인 점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손승현 라쿠텐 심포니 인터넷 서비스 사업부문 대표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소매업계에서는 심각한 고용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라쿠텐 네오는 인력 문제로 인해 기업들이 겪고 있는 손실을 완화할 수 있다.”며 “라쿠텐 네오는직원 고용과 관리, 비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자들의 걱정을 한시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고 자신했다.
관련기사
- [Success Story]롯데마트에 들어간 디지털 위생관리 시스템...디지털품질관리서로 입고 부터 가공까지 철저한 위생관리
- 디지털 트윈과 IoT 기술 결합 ‘스마트팩토리 생산성 극대화’
- 상호 연결되는 세계, 디지털 물류도 ‘자동화∙지능화’
- AI가 재편하는 ‘물류 산업의 8가지 변화’
- 스마트해지는 커넥티드 환경, ‘만물인터넷 IoE’ 시장 만개
- 첨단기술과 결합한 ‘디지털 트윈’ 시장 ‘멈추지 않는 고성장세’
- IoT 센서 시장, 연평균 34% 성장해 2029년 701억 달러 전망
- 외부인 범죄 막는 '학교출입관리시스템'...안면인식 시스템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 아시아RF, Wi-Fi 할로우 메시로 산업 자동화 혁신
- 과기정통부, 지능형 가정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전기차 화재 예방하는 ‘전력선 통신 충전기’
- 하이브리드 근무 확대 속 ‘지능형 업무 공간 솔루션’ 급부상…안전·협업·운영 효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