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시중 은행 및 인터넷은행들이 오는 12월을 목표로 CBDC 활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인만큼 관련 보안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인 김태진 전무는 24일 ‘CBDC 관련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 활용 방향’을 주제로 열린 ‘2024년 제2회 개인정보 기술포럼 세미나’에 참석해 영지식증명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고 25일 전했다.

김태진 라온시큐어 CTO가 영지식증명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김태진 라온시큐어 CTO가 영지식증명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개인정보위원회, 한국은행, 개인정보 기술포럼이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ITSA) 주관했으며, CBDC 관련 개인정보보호 고려사항 및 관련 기술 활용 방안, 관련 정책 방향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김태진 전무는 이 날 세미나에서 패널토론에 참석하여 영지식 증명 기술의 적용 사례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김태진 전무는 CBDC와 같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금융 거래 시에는 거래 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영지식증명 기술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방안을 연구, 적용하는 것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전했다.

영지식증명(Zero knowledge proof)이란 거래자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드러내지 않고도 거래를 위해 필요한 해당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기술로,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암호학적 방법이다. 가령 라온시큐어의 블록체인 디지털 ID 플랫폼 기반으로 구현된 모바일 신분증은 영지식증명 기술을 통해 주류 구매 등을 할 때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고도 성인인증이 가능하다.

영지식증명 기술은 ‘합의 알고리듬’과 함께 블록체인을 이루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특히 CBDC와 같은 금융거래 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술로서 영지식증명이 적합하다는 게 김태진 전무의 설명이다.

김태진 전무는 “CBDC와 같은 금융 거래 시에는 트랜잭션의 빠른 처리 및 블록체인상의 투명성 보장과 동시에 개인정보보호가 가능해야 하므로, 이에 최적화된 영지식증명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라며, “아직까지 영지식증명이 완벽하게 적용되기에는 이르고 지속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하며, 영지식증명기술을 활용한 거래시 자금세탁방지 규제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도 같이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오는 9월 27일(금) 서울 양재동 엘타워 그레이스홀(양재역)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NABS(Next AI & Bigdata Summit) 2024”에서는 “비즈니스에 성공하는 AI & Big Data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글로벌 AI와 빅데이터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리더 기업들이 급변하는 기술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생산성과 효율성 및 비용 절감까지 조직과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는 맞춤형 차세대 AI와 빅데이터 전략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