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비용 절감, 전문성 확보 등을 위해 제3자인 외부 공급업체, 파트너 및 서비스 제공업체와 협력하지만 다양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많은 기업은 ‘제3자 위험 관리 프로그램(TPRM)’을 도입해 제3자의 보안 수준을 평가하고, 규정 준수를 모니터링하며, 계약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법률 및 규제 준수, 위험 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미트라테크(Mitratech)가 최근 인수한 제3자 위험 관리 플랫폼 ‘프리밸런트(Prevalent)’에 AI 기반 기능을 추가한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공급업체, 벤더 및 파트너 등 제3자와 관련된 위험을 식별·평가·모니터링·관리 및 수정 작업을 간소화한다.
PDF 문서를 활용해 AI 기반 설문지를 완성하는 기능이 추가돼 업로드된 문서에서 위험 평가 필드를 자동 추출 및 완성해 제3자 위험 평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AI 생성 이벤트 요약 기능은 가공되지 않은 이벤트 데이터를 일반 언어로 변환해 데이터 침해나 운영 중단 등 제3자 위험 이벤트의 분석을 간소화한다. 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에 집중하고 대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ESG 및 지속가능성 모니터링 기능은 공급망 전반에서 글로벌 규정 준수 보고를 표준화 및 간소화한다. 전 세계에서 수집된 표준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고 각 공급업체의 고급 지속 가능성 등급 및 점수에 범위 1, 2, 3 온실가스 배출을 포함해 기업이 시간 경과에 따른 성과와 업계 평균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분석가가 엄선한 배출량 점수와 부정적인 뉴스 및 평판 위험에 대한 실시간 알림을 제공한다.

기존의 내장형 ESG 설문지 및 ESG 위험 관리를 위한 중앙 관리부와 결합된 새로운 모니터링 인사이트는 공급망 전체에서 지속 가능성 성과를 관리해 평판 위험을 완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올해 7월에 발생한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 중단과 같은 소프트웨어 공급망 사고 해결을 위해 생태계 전반의 공급업체가 사용하는 기술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 태그를 도입한다. 제 3자 위험 팀은 사고 대응 설문 조사 발행 또는 위험 항목 생성 등 기술 태그로 시작되는 작업을 자동화해 공급망 취약성을 더 빠르게 식별 및 수정할 수 있다.
미트라테크의 GRC 솔루션 부문 전무 이사 앨러스테어 파(Alastair Parr)는 “ESG 모니터링 개선, AI 기반 설문지 작성 및 향상된 기술 태그는 조직에 새로운 위협과 규제 변화에 앞서 나갈 수 있는 최첨단 기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대규모 AI 탐지 도구’…AI 보안 준수 규정·가이드라인 충족
- 이중 갈취하는 ‘아키라 랜섬웨어’ 방어하는 5대 핵심 프로토콜
- “소프트웨어 공급망 파트너 發 랜섬웨어 공격 급증”
- 위험 분석 통합된 ‘제3자 위험 관리 솔루션’...시간·비용·복잡성↓보안성↑
- 규제 준수를 위한 오픈소스 분석 및 동의 관리 솔루션
- 기업 소프트웨어 공급망 위협 증가로 “SBOM 활용 확대”
- 사이버 공격 초기 방어 및 복원력 강화하는 ‘ARC’ 솔루션
- AI 세무 규정 준수 자동화 솔루션...간편성·정확성↑
- 데이터 기반 사이버 위험 완화하는 ‘사이버 리스크 분석기’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장애 사태는 ‘전화위복’
- 하이브리드 IT 환경에 필요한 모니터링 3가지 핵심 요소
- 비즈니스 성과 올리는 GRC 프로그램 성과 측정 솔루션...성과와 재무적 영향 측정
-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통합으로 ‘애플리케이션 혁신’...성능·신뢰성·민첩성·확장성↑
- 아이이에스지-뮤레파, AI·빅데이터 기반 ESG 평가 솔루션 개발 협력 강화
- 전 세계 기업들 대대적인 IT 공급망 재고...원인은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사태 방지
- GRC, 단순한 평가 항목 아닌 '운영·비즈니스 성장 핵심'
- ‘비용 관리·경로 최적화·데이터 정확도 강화’ 공급망 관리 솔루션...비용↓운영 효율↑
- 사이버 보안 등급 결합한 ‘서드파티 위험관리 플랫폼’...공급망 위험 평가, 모니터링 및 조치
- 심각한 내부자 위협 막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인사이더 리스크 서비스'...내부 보안 취약점 사전 식별 및 차단
- AI 탑재 ‘평가 코파일럿’...기존 데이터 활용해 업무 속도·신뢰성↑
- 비용·환경 영향↓단기 수익성 있는 ‘모빌리티 지속 가능성’
- “AI 기반 보이스피싱 442% 급증”
- 규정 준수 자동화로 기업 GRC 대응력 향상
- 엄격해지는 ESG 리스크 대응 전략, ‘AI 기반 이중 중요성 평가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