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사이버 보안 및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기업인 쿠조 AI(CUJO AI)가 ‘2024년 사이버 보안 보고서: 홈 네트워크의 피싱 위협’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와 유럽의 6천만 가구 이상의 홈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피싱 및 맬웨어 공격이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한 브라우징 습관, 고도화된 전술, 고신뢰 산업 집중
지난 6개월간 쿠조 AI는 32억 3천만 건의 사이버 위협을 차단했다. 이는 1분에 평균 1만 2473건의 위협을 차단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의 67.5%가 매월 최소 한 건의 사이버 위협에 직면하고 있으며, 피싱은 소비자에게 가장 큰 재정적 피해를 입히는 위험 중 하나로 부상했다. 특히 전체 사이버 위협의 1/4 이상이 NAS 저장 장치, IP 카메라, DVR 같은 IoT 기기를 노리고 있어, 스마트 홈 기술의 보안 취약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 브라우징 위협: 악성 웹사이트 방문이 전체 위협의 72%를 차지한다. 악성 사이트 10개 중 8개는 맬웨어를 유포하고, 2개는 소비자 정보를 훔치려는 피싱 사이트이다.
⦁표적 피싱 캠페인: 피싱 공격은 흔히 인기 서비스를 사칭한다. 은행, 호텔 예약,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가 가장 많은 표적이 되고 있다. 은행 관련 스푸핑 사이트는 공격의 16%를 차지했으며, 호텔 예약은 11%로, 공격자들이 고신뢰 산업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P 평판 위협: 탐지된 전체 위협의 28%를 차지하며, 이는 주로 설정이 미흡한 IoT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 IP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취약성은 해당 기기들을 맬웨어 감염과 무차별 대입 공격에 노출시킨다.
피싱 공격과 맬웨어의 급증은 IoT 기기가 사이버 위협의 주요 표적이 됨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NSP)가 연결된 홈 환경을 보호하는 데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NSP, 네트워크의 모든 연결 기기 보호
NSP들은 PC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 TV, IP 카메라, 음성 비서에 이르기까지 홈 네트워크 내 모든 연결 기기에 원활한 보안을 제공하고 있다. 부모가 스크린 타임 제한을 설정하고, 부적절한 콘텐츠를 차단하며, 균형 잡힌 디지털 습관을 장려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합함으로써 NSP는 모든 가구 구성원에게 더 안전한 온라인 경험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추가 설정 없이 홈, 모바일 및 공용 네트워크의 모든 기기에 대한 자동 보안을 통해 사용자를 해킹, 맬웨어, 기타 디지털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쿠조 AI의 CTO인 산테리 캉가스(Santeri Kangas)는 “IoT 기기를 노리는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전체 사이버 위협의 1/3이 IoT 기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네트워크 기반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AI 기반 기술은 정교한 피싱과 맬웨어 위협을 실시간으로 차단하여, NSP가 안전하고 원활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스퍼스키-인터폴, 전 세계 사이버 범죄자 40명 검거...표적형 피싱·랜섬웨어·정보 탈취 차단
- 비즈니스 위험 대비 ‘eGRC’ 글로벌 확산세
- 문제 발생 전 미리 대비 ‘예지 보전’ 활황세
- 보안성·유연성 높은 보안 메시 아키텍처 기반 '자율 보안'
- 비정형 비디오 데이터 폭증, ‘비디오 분석’ 괄목 성장
- 2025년 주의해야 할 보안 위협 "AI 기반 공격·양자 위협·소셜 미디어 악용"
- IoT·클라우드 위협 노출 증가 ‘DDoS 보호·완화 보안’ 시급
- 에지 보안 강화하는 개방형 네트워크 보안 앱
- ‘네트워크 카메라’ 견고한 성장세...산업·도시주거 보안 활용 증가
- IoT 에지용 생성AI 음성 인식 기술
- '스마트 콘텐츠 분석'으로 '복잡한 악성코드·피싱 공격' 재빨리 차단
- 기업 노리는 사이버 공격 콕집어내는 '기업 맞춤형 위협 분석' 솔루션
- [2025년 전망] AI 영향 속 주목해야할 사이버 보안 6대 트렌드
- 연말연시 연휴 노리는 ‘피싱 공격’ 대응법
- ‘안전한 온라인 환경’ 불법 콘텐츠 유포 차단 부터
-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사기 시도 “690% 이상 급증”
- 모바일 업무 환경 고도화로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관리’ 폭풍 성장
- 실시간 통신 기술 RTC 탑재 ‘IoT 상호 작용 강화’
- 이벤트 제작의 미래는 ‘AI·AR/VR·지속 가능성’ 기술에 달려
- [기고]지연·규제·단절 해소하는 IP 비디오 기술...금융 시장 필수 인프라로 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