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관리 기업 디노도코리아(대표 남궁명선, 이하 디노도)가 LG 유플러스 NW부문의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프로젝트에 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인 디노도 플랫폼(Denodo Platform)을 공급한다고 26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수십년간 유·무선을 아우르는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고도화 전략을 추진해 왔다. 또한 최근 AI 도입을 통한 초개인화 서비스와 데이터센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관리해야 할 내외부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네트워크 환경과 장비품질,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LG 유플러스 NW부문, NW AX솔루션담당, NW AX엔지니어링팀은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패브릭- 데이터 메쉬’ 단계로 구성된 데이터 아키텍처 진화 계획을 세워 추진 중이었고, 이번에 디노도 플랫폼과 데이터 가상화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 패브릭을 구축 하기로 결정했다.
LG유플러스는 기존 5-6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개별 목적에 따라 운영하고 있는데 복수의 데이터를 조회해야 하는 경우 형식과 보안 수준이 상이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이동해야만 했다.
이동 과정에서 증가하는 잠재적 보안 리스크와 각 데이터 소스별 액세스 관리의 복잡성은 실무진의 원활한 데이터 활용과 통합적인 데이터 관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LG유플러스 NW부문은 AI통합 플랫폼인 ‘넛지(Nudge)’를 오픈하고 이 중 NW빅데이터 데이터 패브릭인 ‘넛지-B’ 플랫폼을 디노도를 기반으로 구축해 이기종 데이터 소스 전반에 걸쳐 데이터 통합과 배포가 가능해졌다.
디노도 플랫폼은 데이터 복제와 이동없이 여러 곳에 분산된 모든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상화 계층을 제공한다. 필요한 데이터를 신속히 찾고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사일로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스마트 쿼리 가속화 기능은 사용자별 쿼리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쿼리를 작성하므로 데이터 활용 시간을 줄인다.
이 밖에도 디노도는 개별 데이터 소스에 대한 액세스와 조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권한을 한곳에서 설정할 수 있어 전사 차원의 데이터 거버넌스와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NW AX엔지니어링 장진수 팀장은 “LG 유플러스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이 만족하는 서비스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곧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으로 귀결된다.”라며, “데이터 통합 및 관리를 지원하는 디노도 플랫폼을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 관리 체계를 마련해 LG 유플러스 네트워크 전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비즈니스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및 성능 강화하는 ‘포티앱섹 클라우드’
- [기고] 제조업, 2030년 4.4제타 바이트 데이터 생성...데이터 패브릭 전문성 시급
- AI로 무장하고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성능 높아진 ‘디노도 플랫폼 9.1’
- 아마존 베드록 LLM과 통합되는 디노도 플랫폼
- 데이터 통합과 데이터 패브릭 구현의 7대 핵심
- 데이터 관리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5가지 방법
- ‘디노도 플랫폼 9.0’, AI 기반 데이터 관리로 정확성·효율성·보안성↑
- AI 고밀도 워크로드에 적합한 데이터 센터
- ‘AI 데이터 패브릭’,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확장성·성능·보안’ 향상
- AI 모델·데이터 간 연결 최적화하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MCP’...보안 강화된 데이터 허브 구현
- [Success Story]자동차 기업 세레스, 디노도 플랫폼으로 제조 데이터 전송속도 88% 개선
- ‘디노도 플랫폼 9.2’, 데이터 마켓플레이스와 생성AI 통합으로 데이터 활용 혁신
-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역량 인증하는 ‘디노도 AI SDK 자격증’
- 디노도-스노우플레이크, 금융 데이터 거버넌스 혁신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