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DC가 발표한 '2024년 국내 스마트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약 1253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7.7%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 심리가 일부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과 교체 수요 감소로 인해 전반적인 시장 수요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이러한 감소세가 두드러졌으며, 가격 부담이 증가한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주요 제조사들이 생성AI 스마트폰을 본격적으로 출시하고 시장 확대에 나서면서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수요는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제조사들은 새로운 시장 수요를 선점하고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5G 스마트폰 점유율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5G 스마트폰 점유율 역대 최고, 플래그십 시장 확대
2024년 국내 5G 스마트폰 점유율은 90.2%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요 브랜드가 5G 플래그십 모델에 집중하고 중저가 5G 스마트폰 모델을 확대하면서 5G 시장의 확장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전체 스마트폰 평균 판매 단가(ASP)는 118만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800달러(USD) 이상의 플래그십 제품군 점유율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69.1%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 울트라 시리즈와 같은 초프리미엄 제품군이 높은 소비자 수요를 이끌어내며 플래그십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AI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적으로 경쟁 구도에 돌입하면서 고급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은 정체기를 맞이했다. 2024년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감소한 116만 대를 기록했다. 신규 AI 기능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과 기존 모델에도 신기술이 적용되면서 소비자들이 신규 모델 구매를 보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폴더블 기기의 내구성과 배터리 성능 등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갤럭시 S24 시리즈와 같은 일반 플래그십 모델로의 수요 이동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025년 생성AI 스마트폰 시장, 두 자릿수 성장 전망
생성AI 스마트폰 시장은 2024년 약 860만 대 출하를 기록하며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 AI 기술이 스마트폰 기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주요 제조사들은 생성AI를 탑재한 신제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며 새로운 시장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AI 기능이 소비자 구매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생성AI 스마트폰은 시장 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년에는 주요 제조사의 생성AI 스마트폰 출시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한국IDC는 2025년 국내 생성AI 스마트폰 시장이 1000만 대를 돌파하며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AI 기술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며, 주요 제조사들이 AI 성능 경쟁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하며, 생성AI 스마트폰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제조사들의 AI 스마트폰 경쟁이 본격화됨에 따라 시장의 경쟁 구도와 소비자 선호도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아주대 치과병원 연구팀, ‘스마트폰 활용한 충치 진단 AI 모델’ 도입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주민등록증' 4500만 대상 전국 발급 시작
- “전 연령대 소비자, 디지털보다 전화 선호”...고객 서비스로 음성 AI 확대 추세
- 네트워크 없이도 안전한 ‘스마트 출입 제어 솔루션’...경제성·보안성·신뢰성↑
- 3차원 정밀 분석 딥러닝 기술 활용한 XR…VR·AR 결합해 몰입감↑
- 단일 플랫폼에서 여러 서비스 제공하는 '슈퍼 앱 시장'...연평균 28.9% 고속 성장
- 클라우드플레어 ‘콘텐츠 자격 증명’, 클릭 한 번으로 이미지 조작 판단
- 운영 비용절감·고객 서비스 강화로 ‘챗봇 시장’ 성장 가속中…올해 103.2억 달러 전망
- 삼성전자,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매출 75.8조 원, 영업이익 6.5조 원
- 원클릭으로 생성AI 위험 평가·처리하는 ‘런타임 기반 탐지 및 평가 시스템’
- 2025년 소비자 기술 시장...AI기반 ‘홈 엔터테인먼트·스마트폰·헬스 테크’ 중심 기술 가속
- GPU 투자 집중 여파로 스토리지 위축…생성AI 대응 NAS 수요는 확대 전망
- 2024년 국내 웨어러블 출하량 전년 대비 3.3% 감소...신규 폼팩터·중저가 전략으로 돌파
- 삼성전자, 초슬림 스마트폰 '갤럭시 S25 엣지' 공개
- AI 가전 체험 강화한 ‘삼성스토어 신세계 강남’ 리뉴얼 오픈
- “AI 열풍에 데이터센터 전력 폭주...전력·냉각·규제 대응 시급”
- AI 기반 적응형 교육 기술...개인화·감정 지원으로 완전 자율 학습 시대 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