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HPE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슈퍼컴퓨터 'KISTI-6'를 구축하며, 이를 통해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KISTI-6는 국내 최고 성능을 자랑하며, 100% 팬 없는 직접 수냉 방식의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KISTI는 오랜 기간 동안 학계 및 산업계에 슈퍼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이번에 도입되는 슈퍼컴퓨터는 데이터 집약적 연구 과제를 지원하고 국내 AI 및 시뮬레이션 기반 연구개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론적으로 최대 600 페타플롭스(PF)의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KISTI-6는 엑사플롭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이번 슈퍼컴퓨터는 두 개의 파티션으로 구성된 HPE 크레이 슈퍼컴퓨팅 EX4000을 기반으로, 엔비디아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과 5세대 AMD EPYC™ 프로세서를 탑재한다. 최신 가속기를 통해 AI 학습 및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엑사스케일 인터커넥트를 지원하는 HPE 슬링샷 인터커넥트 400을 통해 초당 400Gb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KISTI는 데이터 집약적인 워크로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HPE 크레이 슈퍼컴퓨팅 스토리지 시스템 E2000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HPE가 설계 및 제공하며 정부 데이터 센터에 배치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AI 및 HPC 분야의 선진 기술을 통해 연구와 산업 전반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HPE의 조셉 양(Joseph Yang) APAC 및 인도 HPC & AI 부문 총괄은 "이번 사업을 통해 한국의 기초 과학 연구 및 AI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국가 연구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려는 한국의 비전과도 부합한다."라고 밝혔다. 이식 KISTI 원장은 "HPE, AMD,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이 슈퍼컴퓨팅 및 AI 혁신 분야의 선도국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고객 서비스용 AI, 전자상거래 기업 확대로 연평균 25.6% 가파른 성장세
- 데이터 자동 검증하는 오픈소스 ‘LLM 평가 솔루션’...‘RAG 기반 환각 감지·쌍별 선호도 판단·개인정보 보호 지원’
- 지멘스, 일본 이화학연구소에 에뮬레이션 및 HLS 플랫폼 공급
- 엔비디아, AI 스토리지 최대 48% 가속하는 스펙트럼-X 네트워킹 플랫폼 발표
- MLOps로 더욱 강력해진 '美 국방 데이터 플랫폼'
- 엔비디아 3000달러 ‘개인용 AI 슈퍼컴퓨터’...GB10 슈퍼칩 탑재·최대 2천억 파라미터 LLM 실행
- 국산 양자 기술 시범 서비스 시작...양자 클라우드 대중화 박차
- 뜨거워지는 양자 보안 경쟁
- 작지만 강력한 경제적 생성AI 슈퍼컴퓨터 ‘엔비디아 젯슨 오린 나노 슈퍼’
- [2025년 전망] 엔비디아 예측 AI 기술 트렌드
- [2025년 전망] 데이터센터 "고밀도 컴퓨팅·AI규제 감독·지속가능성·사이버 보안"에 집중
-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양자 컴퓨팅 플랫폼’으로 구글 ‘퀀텀 AI 프로세서’ 설계 가속
- 세계 최대 AI 슈퍼컴퓨터 xAI '콜로서스'에 들어간 데이터 플랫폼
- HPE-엔비디아, AI 팩토리 포트폴리오 강화
- HP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 최적화 ‘프라이빗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출시
- 국방 AI 역량 강화하는 '가상 전장 AI 시뮬레이션'...국가 및 동맹 위협 선제적 대응
- AI 모델 학습 4배 향상하는 알고리듬 최적화 기술
- “HPE, 엔비디아 블랙웰·컴퓨트 XD690 통합 AI 팩토리 플랫폼 공개”
- HPE, 하이브리드 IT 운영 최적화 AI옵스 ‘그린레이크 인텔리전스’ 공개
- HPE-엔비디아, ‘AI@하이퍼스케일 2025’ 성료
- 정부 데이터 플랫폼, AI 문서 자동화로 비정형 데이터 활용 혁신
